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적 의사소통장애 연구 문헌분석

이용수  2

영문명
The Literature Analysis of Social Communication Disorder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이은주 오소정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21권 제2호, 119~13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DSM-5에 새로운 언어장애 진단명으로 사회적 의사소통장애가 첨가되었다. 그런데 현재 국내·외적으로 사회적 의사소통장애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편이다. 이에 이번 연구를 통해 사회적 의사소통장애와 관련된 연구가 세계적으로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2012년부터 2019년까지 저널에 발표된 학령기아동 대상의 국내·외 10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연구대상 연구방법, 독립변수 종속변수, 사회적 언어평가 검사도구, 연구결과 등을 분석하여 보았다. 연구결과: 사회적 의사소통장애 아동은 다른 신경발달장애(ASD, ADHD 등)아동과 사회적 의사소통능력 결함에 있어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이에 사회적 의사소통장애 아동들에 대한 연구들은 ASD 및 DLD 과의 언어능력 비교 및 진단평가 방법의 고안, 또는 유의미한 치료방법에 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우리는 사회적 의사소통장애라는 새로운 언어장애 아동 구분법에 맞는 적합한 진단 평가방법과 치료법에 대한 구분이 명확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Purpose: A social communication disorder was added to DSM-5 as a new diagnosis name for language disorders. However, the researches on social communication disorders were not enough in Korea and abroad. The study looked at how the studies related to social communication disorders were being carried out worldwide. Method: From 2012 to 2019, the study selected 10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for the school aged social communication disorders published in the journals and analyzed the research methods, independent variables, social language evaluation testing tools, and research results. Results: Children with social communication disorders had similar characteristics in other children with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ASD, ADHD, etc.) on defective social communication skills. In this regard, the studies of children with social communication disorders were mainly conducted on the design of language ability comparison and diagnostic evaluation methods in ASD and DLD, or significant treatment methods. Conclusion: The above results show that we need to make clear the distinction between appropriate diagnostic evaluation methods and treatments for the new diagnosis name as social communication disord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주,오소정. (2019).사회적 의사소통장애 연구 문헌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21 (2), 119-139

MLA

이은주,오소정. "사회적 의사소통장애 연구 문헌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21.2(2019): 119-1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