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접교수법과 반복 읽기에 의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활용 수정된 그림책 읽기 중재가 중등도 지적장애 학생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5

영문명
The Effect of Adapted Picture Books Reading Intervention Based on Direct Instruction and Repeated Choral Reading Using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on the Reading Ability of a Student with Moderate Intellectual Disability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양성빈 한경임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21권 제2호, 73~10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직접교수법과 반복 읽기에 의한 보완대체 의사소통(AAC)을 활용한 수정된 그림책 읽기 중재가 중등도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지능지수 48의 중등도 지적장애 초등학생으로 수용어휘 등가연령은 2세 6개월이었다. 연구 참여 학생은 말을 하지만 발음이 명확하지 않아 교사나 부모 이외에는 이해하기가 어려우나 AAC 중재를 받은 경험은 없었다. 연구 설계는 행동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중재 활동은 마이토키 상징, 콤마AAC 앱을 사용하고 수정된 그림책과 학생의 독립적인 읽기를 위한 오디오 기기로 북웜을 포함한 직접교수법과 반복읽기 전략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AAC를 적용한 수정된 그림책 읽기 중재는 말로 의사소통하기 어려운 중등도 지적장애 학생의 읽기유창성, 사실이해력, 추론이해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AAC를 활용한 수정된 그림책 읽기 중재에 대한 많은 정보를 교사들에게 제공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dapted picture books reading intervention based on direct instruction and repeated choral reading using AAC on the reading ability of a student with moderate intellectual disability. Method: The study used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behaviors. In order to analyze the outcome of the study, reading fluency, factual reading comprehension and inferential reading comprehension were selected. The intervention activity was consisted of reading intervention using direct instruction with AAC system including MyTalkie symbol, AAC application and Bookworm for the child’s volunteer reading. The participant of the study was an elementary school student with moderate intellectual disability. His intelligence quotient was 48, and his receptive vocabulary age equivalency was 2.5 years old. He spoke a little, but his parent and a teacher only understood him. He did not have any experience using AAC prior to the intervention.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dapted book reading intervention based on the direct instruction and repeated choral reading using AAC effected changes on reading fluency, factual reading comprehension, and inferential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of the student with moderate intellectual disabilit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provide lots of information on the adapted book intervention using AAC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성빈,한경임. (2019).직접교수법과 반복 읽기에 의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활용 수정된 그림책 읽기 중재가 중등도 지적장애 학생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21 (2), 73-102

MLA

양성빈,한경임. "직접교수법과 반복 읽기에 의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활용 수정된 그림책 읽기 중재가 중등도 지적장애 학생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21.2(2019): 73-1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