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arents’ Perceived Barriers and Support Plans to Leisure Particip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cused on Busan Area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배정인 강영심 한민정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1권 제2호, 243~26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부모가 인식하는 장애학생의 여가활동 저해요인과 지원방안을 학교급, 성별, 장애유형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부산지역 특수학교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을 자녀로 둔 학부모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증, 일원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활동을 저해하는 요인의 경우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학교급에서는 ‘주변 여가시설과 장소부족’, ‘지역 주민의 부정적 인식’, ‘여가 프로그램과 장비의 부족’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장애유형 집단 간에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활동 지원방안의 모든 하위 항목에서 성별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학교급에서는 ‘교사의 학교동아리 활동지원’, ‘학생에 대한 지역사회 인식 개선’, ‘학생의 여가 관련 재정적 지원’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장애유형에 따른 집단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론: 이에 장애학생의 여가활동 활성화를 위해서 장애유형에 따른 여가활동 저해요소의 제거와 지원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parents’ perception of barriers and support plans to leisure particip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2 parents who ha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special schools. The study surveyed subjects’ perceived barriers and support plans to leisure participation for their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to produce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d one way ANOVA. Results: As the result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rrier factors between gender, but ‘lack of facilities and places’, ‘negative awareness of neighborhood’, ‘lack of programs and equipments’ factor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chool levels. As wel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ypes of disabilities in all barrier factors. Seco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upport plans between gender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chool levels in ‘support teachers’ club activity’, ‘improve awareness of the community to disabilities’ and, ‘financial support’ factors. As well, all factors under support plans appear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ypes of disability groups. Conclusion: Therefore this study strongly suggests that remove barriers and support strategies suit in disability types rather than gender for effective leisure participation in youth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각적 스케줄 활용이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
- A Comparison of Demographic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between Employed and Unemployed South Korean High School Graduate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스마트폰을 활용한 상황학습의 장기간 지원이 발달장애인의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
- 학부모가 인식하는 장애학생 여가활동의 저해요인과 지원방안
- 사회적 의사소통장애 연구 문헌분석
- 특수학교 자유학기제에 대한 특수교사의 메타포
- 지체·중복장애학생 보호자의 자기결정에 대한 인식
- 직접교수법과 반복 읽기에 의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활용 수정된 그림책 읽기 중재가 중등도 지적장애 학생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 일반 초등학생 학부모가 인식한 장애인 교사의 이미지
- 4세 유아의 그림상징 표현 특성
- 추론적 이해 특성 기반 학습장애 위험군 판별 가능성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교수학 제27권 제2호 목차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소인수분해 개념 도입의 변화와 교과서 분석: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생산적 수업 담론을 위한 ‘5관행’ 적용 고등학교 수업 실행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