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vestigating Feasibility of Using Inferential Comprehension Test to Screen Students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희주 김동일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1권 제2호, 53~7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학생과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의 추론적 이해 특성을 확인하고, 추론적 읽기 능력 검사를 통한 학습장애 위험군 판별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5학년 학생 460명을 대상이며, ACCENT 국어 영역 검사와 학습장애선별검사를 통하여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을 선별하였다. 일반학생과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간의 추론적 이해 특성을 확인하고자 추론적 이해 하위 영역에 대하여 t 검증과 ROC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추론적 이해 능력 검사에서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들은 일반학생들 보다 하위 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특별히 어휘 의미 추론과 이어질 내용 추론 과제는 학습장애 위험군 집단을 선별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논의와 연구의 제한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inferential comprehension ability of students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compared with their peers and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application of the inferential comprehension test for screening students at risk for leaning disabilities. Method: A total of students from 5th elementary schoo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irst, t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eneral group and at risk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Second,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calculated using ROC analysis. Results: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1) students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performed much lower than their peers on 6 tasks of inferential comprehension test and (2) especially inferencing meaning of the unknown words and making prediction were the useful indicators to diagnose the inferential abilities of students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meaning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각적 스케줄 활용이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
- A Comparison of Demographic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between Employed and Unemployed South Korean High School Graduate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스마트폰을 활용한 상황학습의 장기간 지원이 발달장애인의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
- 학부모가 인식하는 장애학생 여가활동의 저해요인과 지원방안
- 사회적 의사소통장애 연구 문헌분석
- 특수학교 자유학기제에 대한 특수교사의 메타포
- 지체·중복장애학생 보호자의 자기결정에 대한 인식
- 직접교수법과 반복 읽기에 의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활용 수정된 그림책 읽기 중재가 중등도 지적장애 학생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 일반 초등학생 학부모가 인식한 장애인 교사의 이미지
- 4세 유아의 그림상징 표현 특성
- 추론적 이해 특성 기반 학습장애 위험군 판별 가능성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