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육 분야에서의 자문화기술지 연구 동향분석 및 향후과제
이용수 0
- 영문명
- The Trend Analysis and Future Tasks of Autoethnography Studies in Speci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서유진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2권 제4호, 135~16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분야에서 꾸준히 수행되고 있는 질적연구 유형인 자문화기술지 연구를 수집하고 연구의 일반적 특성과 연구방법적 특성을 살펴보고 후속 자문화기술지 연구의 질적향상을 위한 연구방향과 과제를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특수교육 분야에서 발표된 총 20편의 자문화기술지를 8개의 논문분석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문화기술지의 연구자는 대부분 교사로, 연구주제는 장애학생을 위한 교과지도가 8편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자료수집은 자기회상과 자기성찰/반성, 문화적 인공물 자료가, 자료분석은 감정코딩 방법이 많이 사용되었다. 연구의 신뢰도는 동료검토와 충분한 연구기간 확보, 다양한 자료수집 등을 통해 검증되었고, 고백적-감성적 글쓰기 방법이 많이 활용되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윤리성 검증은 기술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의 분석대상 자문화기술지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방법적 제한점을 토대로 앞으로 자문화기술지 연구를 수행하고자 할 때 어떤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지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autoethnography studie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and then analyze them based on their general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Also, the study suggested research directions and task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future autoethnography studies. Method: A total of 20 autoethnography stud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8 research-analysis criterion of this study. Results: The results identified that most researchers of the studies were teachers who taugh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pics of 8 studies were related to teach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lf-recall, self-reflection, and cultural artifact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emotional coding was used for data analysis. Peer check, sufficient research period, and various data collection were used for study reliability. Most of the studies did not explain their ethical verificat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research efforts necessary for future autoethnography stud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포함한 인성동화 프로그램이 초등 특수학급 학생의 자기결정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근거이론을 통한 지적장애인의 초기 직업적응과정 분석
- 강화된 경험중심 심리운동 중재가 시각장애 유아의 수업참여행동 및 사회적 행동과 지각·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육 분야에서의 자문화기술지 연구 동향분석 및 향후과제
- 지적장애,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의 도형학습 중재 연구 메타분석
- 장애 형제자매가 있는 성인 비장애 형제자매의 삶의 경험
- 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 활성화와 효과적인 취업 지원을 위한 전공과 지원 방안 탐색 연구
- 특수교사의 소진이 교수태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