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근거이론을 통한 지적장애인의 초기 직업적응과정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Early Occupational Adaptation Proces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고현미 강영심 손성화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2권 제4호, 79~11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의 초기 직업적응과정을 분석하여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B시에 거주하며 직업경력이 2년 미만이고 현재 직장에서 6개월 이상 직업을 유지하고 있는 지적장애인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자료는 근거이론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적장애인의 초기 직업적응과정에 대한 패러다임 모형은 취업의 이유, 취업을 준비하는 방법, 힘겨운 취업 장벽의 인과적 조건에 따라 초기 일의 어려움, 기대의 불일치, 적응의 힘겨움, 불만족스러운 근무환경의 맥락적 조건과 직장동료와의 교류, 슬기로운 여가생활, 인적·사회적 지원의 중재적 조건에 의해 꿈을 갖고 한 걸음씩이라는 중심현상을 드러냈다. 또한 노력과 도움, 끊임없는 자기계발의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경험하도록 하였고 그 결과 삶의 보람, 성숙해지는 나, 일을 통한 만족감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적장애인의 초기 직업적응과정은 혼란, 저항, 노력, 성장의 단계로 나타났고 전체를 아우르는 핵심범주는 일을 통한 자아실현이었다. 결론: 지적장애인의 초기 직업적응과정의 핵심경험을 중심으로 직업유지를 돕기 위한 방법과 전략을 제안하였다. 이는 지적장애인이 행복한 직업생활을 영위하도록 돕기 위한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itial job adaptation proces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t provides basic data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ractical difficulties encountered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analyze the vocational adaptation process in work life, and establish preventive support plans to establish basic data for fundamental problem solving. Method: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used the intentional sampling method to target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ith less than 2 years of experience and who had maintained their jobs for more than 6 months at the current workplace, and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Results: As the results of the initial vocational adaptation process of research participants showed that it was a “stage of confusion,” “stage of resistance,” “stage of effort,” and “stage of growth.” The core category through selective coding was “self-actualization through work.” Conclusion: Methods and strategies were proposed to help maintain a job, focusing on the core experience of the early vocational adaptation proces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lead a happy professional lif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포함한 인성동화 프로그램이 초등 특수학급 학생의 자기결정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근거이론을 통한 지적장애인의 초기 직업적응과정 분석
- 강화된 경험중심 심리운동 중재가 시각장애 유아의 수업참여행동 및 사회적 행동과 지각·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육 분야에서의 자문화기술지 연구 동향분석 및 향후과제
- 지적장애,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의 도형학습 중재 연구 메타분석
- 장애 형제자매가 있는 성인 비장애 형제자매의 삶의 경험
- 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 활성화와 효과적인 취업 지원을 위한 전공과 지원 방안 탐색 연구
- 특수교사의 소진이 교수태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