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 활성화와 효과적인 취업 지원을 위한 전공과 지원 방안 탐색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Supporting Strategies of Majoring Course for Promoting Career & Vocational Education and Assisting Effective Employme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미숙 박영근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2권 제4호,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전공과를 통한 특수교육대상자의 진로・직업교육 활성화와 효과적인 취업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전공과 운영의 현황과 실태, 전공과 관련 법령, 학술연구, 정책연구, 각종 통계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전공과의 기능과 운영 실태를 명확히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정부 차원의 지원정책 및 사업과의 연계성을 분석하여 전공과 지원 방안으로의 적용 등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는 현장실습에 대한 지원 방안, 직무훈련 중심 전공과 교육과정 운영 방안, 전공과 관련 인력의 지원 방안, 교내 현장실습을 위한 전공과 시설 구축 방안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결론: 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 활성화와 효과적인 취업 지원을 위해서는 학교, 지역사회, 국가의 다각적인 협력과 지원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prepare effective support plans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for employment through majoring course. Metho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current status of laws, academic research, policy research, and various statistics related to majoring courses were reviewed.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ies and projects, the support plans for majoring course were reviewed. Result: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e support plans for field training, curriculum management of job training-oriented majoring course, support plans of manpower for majoring course, and support plans for the majoring course facility construction for the on-campus field training.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ummary and conclusion were suggested. For the activation of career & vocational education and effective employment support, it is necessary for schools, communities, and nation to collaborate in several aspec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포함한 인성동화 프로그램이 초등 특수학급 학생의 자기결정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근거이론을 통한 지적장애인의 초기 직업적응과정 분석
- 강화된 경험중심 심리운동 중재가 시각장애 유아의 수업참여행동 및 사회적 행동과 지각·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육 분야에서의 자문화기술지 연구 동향분석 및 향후과제
- 지적장애,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의 도형학습 중재 연구 메타분석
- 장애 형제자매가 있는 성인 비장애 형제자매의 삶의 경험
- 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 활성화와 효과적인 취업 지원을 위한 전공과 지원 방안 탐색 연구
- 특수교사의 소진이 교수태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