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강화된 경험중심 심리운동 중재가 시각장애 유아의 수업참여행동 및 사회적 행동과 지각·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 Psychomotricity with Enhanced Experience on the Class Participation & Social Behaviors and Perceptual-Motor Abilities of a Young Child with a Visual Impairment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조형석 이숙정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2권 제4호, 193~22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강화된 경험중심 심리운동 중재가 선천적 시각장애 유아의 수업참여행동 및 사회적 행동과 지각·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발달센터에 내원 중인 시각장애 유아 1명을 선정하였다. 목표행동인 수업참여행동에 대해서는 행동 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였으며 사회적 행동과 지각·운동능력의 경우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강화된 경험중심 심리운동 중재는 시각장애 유아의 수업참여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변화된 행동이 일반화, 유지되었다. 또한 사회적 행동과 지각·운동능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시각장애 유아의 수업참여행동, 사회적 행동, 지각·운동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중재의 특징적 요소를 선행연구와 관련지어 논의하였으며 추후 연구를 제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시각장애 유아가 발달과정에서 경험하고 겪게 되는 다양한 이차적 장애에 대한 개선과 예방적 차원에서 심리운동의 적용 가능성과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시각장애 유아를 위한 조기지원 차원에서 개별적 지원 요구를 반영하고 특히 감각운동적 특징을 고려한 강화된 경험중심 심리운동 중재가 목표행동에 대한 기능적 효과를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갖는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sychomotricity with enhanced experience on the class participation behaviors, social behaviors and perceptual-motor abilities of a young child with a congenital visual impairment. Method: The subject was one young child with a visual impairment.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this study, in the case of the class participation behaviors,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behaviors was conducted, and in the case of social behaviors and perceptual-motor abilities,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Results: Psychomotricity with enhanced experience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class participation behaviors and the changed behavior was generalized and maintained even after the intervention. It also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ocial behaviors and perceptual-motor abilities.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applicability and effectiveness of psychomotric intervention in terms of improvement and prevention of secondary disorders experienced by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In particular, in terms of early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it is meaningful that the psychomotricity with enhanced experience reflecting individual support needs and taking into account sensorimotor characteristics has proven functional effects on target behavio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포함한 인성동화 프로그램이 초등 특수학급 학생의 자기결정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근거이론을 통한 지적장애인의 초기 직업적응과정 분석
- 강화된 경험중심 심리운동 중재가 시각장애 유아의 수업참여행동 및 사회적 행동과 지각·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육 분야에서의 자문화기술지 연구 동향분석 및 향후과제
- 지적장애,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의 도형학습 중재 연구 메타분석
- 장애 형제자매가 있는 성인 비장애 형제자매의 삶의 경험
- 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 활성화와 효과적인 취업 지원을 위한 전공과 지원 방안 탐색 연구
- 특수교사의 소진이 교수태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A Translation Report on English-Chinese of Smart Thinking (Excerpts)
- Integrating the Spirit of the 20th National Congress of the CPC into the Teaching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Courses in Higher Education: Reflections and Practices
- 플라톤의 「고르기아스」: 수사술과 논박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