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에 대한 특수교사의 중요도인식과 교수실행도
이용수 9
- 영문명
-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Perception and Practice on the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장은지 박재국 김은라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5권 제1호, 123~15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에 대한 특수교사의 중요도인식과 교수실행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특수교사가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할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의 요소를 탐색함으로써, 자기결정력의 하위 영역별 교수전략과 실질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제시된 연구문제에 따라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203부의 설문지 중 196부를 최종 선별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대응표본 t검정, Borich 요구도 분석, IPA 매트릭스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에 대한 특수교사의 중요도인식은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이었으며, 교수실행도는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변인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둘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에 대한 특수교사의 중요도인식과 교수실행도는 모든 하위 영역과 세부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Borich 요구도와 IPA 매트릭스 분석의 공통적으로 강조되는 항목은 자기옹호, 자기관리 및 자기조절 , 자기인식 및 자기지식 영역이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eaching strategi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by examining the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the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in addition to exploring the factors of self-determination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uld preferentially support. Method: A total of 196 reponses were finally selected and analyzed using a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paired sample t-test, Borich demand analysis, and IPA matrix analysis. Results: First, the importance perception of special teachers on the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was generally high, and the degree of teaching execution was found to be moderat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variables. Seco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confirmed in all sub-areas and details in the importance perception and teaching practice of special teachers on the self-determination power of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Commonly emphasized items in Borich demand and IPA matrix analysis were the areas of self-protection, self-management and self-regulation, self-awareness, and self-knowledge. Conclusion: A strategy was the items commonly required in the Borich and IPA matrix was provid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에 대한 특수교사의 중요도인식과 교수실행도
-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대상 가상현실 활용 중재 연구 동향 및 과제
- 성인기 삶의 질과 평생교육에 대한 발달장애인 당사자의 인식 연구
- 중도 발달장애 학생의 과학 교과 교수-학습에 대한 연구 동향 및 향후 과제 고찰
- 특수학급 지적장애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영역 및 영역별 내용 구성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분석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초점집단면담 연구
- 일반교육 및 특수교육 자유학기제 연구 동향 분석
- 청각장애인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을 위한 물리치료와 음악치료의 협업 경험에서의 의미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원교육 제41권 제5호 목차
-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교육청을 중심으로
- 학교공간혁신 참여설계 과정에서 교사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역량 - FGI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