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도 발달장애 학생의 과학 교과 교수-학습에 대한 연구 동향 및 향후 과제 고찰
이용수 26
- 영문명
- Review of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in Literature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종민 강선영 김유리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5권 제1호, 181~21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도 발달장애 학생 대상의 과학교육 관련 국내외 문헌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중도 발달장애 학생 대상의 과학교육 활성화를 위한 향후 연구과제에 주는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문헌연구의 한 방법인 범위연구(scoping review)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2012년부터 2022년까지 출판된 총 28편(국내 9편, 국외 19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문헌을 출판 연도, 연구 참여자, 연구 방법, 연구 주제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선행연구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 발달장애 학생의 과학교과 학습 관련 연구의 연구 동향으로는 국외연구에 비해 국내연구의 편수가 적었으며, 국외연구는 주로 통합교육 환경에서 이루어진 반면 국내연구는 특수학교에서 실시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방법은 실험연구였고, 특히 국외연구는 단일대상연구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둘째, 관련 연구의 하위주제로는 ‘효과적인 교수 전략’, ‘특수교사의 과학 교과 전문성’, ‘일반 교육과정 접근 전략’의 3가지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결론: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중도 발달장애 대상 과학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교육 현장과 후속연구에 주는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view both international and domestic literature on scienc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Method: Using the scoping review method, a total of 28 stud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trends and themes. Results: First,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amount of domestic research was relatively small and most of the international studies were mainly conducted in an integrated education environment, while domestic research was conducted in special schools. Moreover, the research method used in most studies was experimental research, and in particular, international research mainly used a single subject research method. Second, previous research was conducted around three research topics: ‘Effective instructional strategy’, ‘Special educators’ expertise on science education’, and ‘Science education in integrated classrooms and access to the general curriculum’.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에 대한 특수교사의 중요도인식과 교수실행도
-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대상 가상현실 활용 중재 연구 동향 및 과제
- 성인기 삶의 질과 평생교육에 대한 발달장애인 당사자의 인식 연구
- 중도 발달장애 학생의 과학 교과 교수-학습에 대한 연구 동향 및 향후 과제 고찰
- 특수학급 지적장애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영역 및 영역별 내용 구성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분석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초점집단면담 연구
- 일반교육 및 특수교육 자유학기제 연구 동향 분석
- 청각장애인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을 위한 물리치료와 음악치료의 협업 경험에서의 의미 탐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