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반교육 및 특수교육 자유학기제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9
- 영문명
- A Literature Review on the Free Semester System of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Focusing on Implications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송다인 이해솔 이아연 신소은 정현준 서효정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5권 제1호, 239~26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자유학기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자유학기 및 학년제가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에게 의미 있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학술지의 제목, 초록, 키워드에 ‘자유학기(제)’, ‘자유학년(제)’를 포함하고 있는 일반교육 210편, 특수교육 17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은 분석틀을 활용하여 기초 및 주제 분석하고, 특수교육 논문 17편은 주요 제안사항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기초 분석 결과, 논문의 기본 정보, 연구 대상, 장애 유형, 연구 방법으로 분류되었다. 주제 분석 결과, 기반연구, 교육과정 편성·운영, 자유학기활동 편성·운영, 자유학기제 효과, 기타로 나타났다. 주요 제안사항은 ‘특수교육의 정체성을 반영한 자유학기제 운영’, ‘교육청 차원의 지원’,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참여자, 방법, 주제를 다룬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고, 특수교육 환경에 적합한 자유학기제 운영을 위해 필요한 향후 연구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n the ‘free semester system’ of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Method: The research team selected 210 general education studies and 17 special education studies including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free school year (system)’ in the title, abstract, and keywords. Based on the analytic framework, the selected papers were analyzed in terms of fundamental analysis and topic analysis. The 17 studie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were analyzed in terms of suggestions. Results: The fundamental analysis was organized into basic information, research participants, type of disability, and research method. The topic analysis was divided into base study, curriculum organization·implementation, free semester activity organization·implementation, effect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others. Suggestions were ‘operating the free semester system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from the district school board’, and ‘community connect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free semester system’ research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should deal with various participants, methods, and topics.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suitable for the special educational environment was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에 대한 특수교사의 중요도인식과 교수실행도
-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대상 가상현실 활용 중재 연구 동향 및 과제
- 성인기 삶의 질과 평생교육에 대한 발달장애인 당사자의 인식 연구
- 중도 발달장애 학생의 과학 교과 교수-학습에 대한 연구 동향 및 향후 과제 고찰
- 특수학급 지적장애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영역 및 영역별 내용 구성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분석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초점집단면담 연구
- 일반교육 및 특수교육 자유학기제 연구 동향 분석
- 청각장애인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을 위한 물리치료와 음악치료의 협업 경험에서의 의미 탐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