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학급 지적장애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용수  29

영문명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n Animal-Assisted Intervention Program for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e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이민자 김옥진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25권 제1호, 1~3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급 지적장애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 자아탄력성 증진, 학교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개발절차는 교수체제개발 모형인 ADDIE를 바탕으로 분석(Analysis), 설계(Design), 개발(Development), 실행(Implementation), 평가(Evaluation)의 5단계를 거쳐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K시에 위치한 2개의 특수학급 지적장애아동 16명이며,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동질한 두 집단인 실험집단 8명과 통제집단 8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게 ADDIE 모형을 기초로 개발된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을 주 2회 45분씩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효과검증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사회적 기술,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여 집단 내 사전과 사후를 SPSS 21.0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실험집단의 사회적 기술 전체와 하위요인 협력, 자기주장, 자아통제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의 자아탄력성 전체와 하위요인 대인관계, 활력성, 호기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낙관성은 점수가 사전에 비해 향상되었다. 셋째, 실험집단의 학교생활적응 전체와 하위요인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치료도우미견을 활용한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이 특수학급 지적장애아동의 사회적 기술,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적응에 효과가 검증되어 학교현장에 적용해 새로운 중재 매체로서의 다양성 확보가 가능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nimal-assisted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social skills, ego-resiliency, and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e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Method: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five stage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based on ADDIE, a teaching system development model.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6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wo special classes located in K city. Two homogeneous groups, 8 experimental groups and 8 control groups were sele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animal-assisted intervention program,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the ADDIE model, was administe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a total of 12 sessions, each of which lasted 45 minutes, twice a week. To verify the effectiveness, social skills, ego-resiliency, and school adjustment scales were us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PSS 21.0 was utiliz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before-and-after OR pre and post within the group. Result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ocial skills of the experimental group.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ego-resiliency of the experimental group. Thir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chool adapt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ffects of animal-assisted intervention programs using therapy dogs on social skills, ego-resiliency and the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es were verified, and that it is possible to secure diversity as a new mediation medium by introducing them to schoo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민자,김옥진. (2023).특수학급 지적장애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25 (1), 1-33

MLA

이민자,김옥진. "특수학급 지적장애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25.1(2023): 1-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