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대상 가상현실 활용 중재 연구 동향 및 과제
이용수 22
- 영문명
- Trends and Tasks in Virtual Reality(VR)-based Interventions Research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나지회 우숙정 이소현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5권 제1호, 153~18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에게 가상현실(VR)을 적용한 실험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과 중재의 특징 분석을 통해 앞으로의 중재 방향과 및 향후 과제에 주는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외 발표된 논문 중 기준에 따라 선정된 총 23편(국외 22편, 국내 1편)의 논문의 전반적 연구 동향과 VR 활용 중재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헌 분석 결과 첫째, 연구 참여자는 지적장애를 동반하지 않은 초등학생이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방법으로는 단일대상연구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유지/일반화를 측정하지 않은 연구가 많았다. 셋째, 종속변인으로는 사회성 영역이 가장 많았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ASD 아동을 위한 가상현실 활용 중재에 대한 논의와 향후 과제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trends and tasks of intervention research related to virtual reality(VR) based intervention research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ASD). Method: Among the studies published from 2010 to 2021, 23 studies(22 international, 1 Korean) were selected by specific criteria, then analyzed according to their overall research tren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VR-based interventions. Results: First, participants were mainly elementary-aged and most individuals without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as a research method, single-subject study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and many studies did not measure maintenance/generalization. Third, the social area was the most common dependent variable.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discussion on VR-based intervention using virtual reality for children with ASD and the direction for future tasks were suggest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에 대한 특수교사의 중요도인식과 교수실행도
-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대상 가상현실 활용 중재 연구 동향 및 과제
- 성인기 삶의 질과 평생교육에 대한 발달장애인 당사자의 인식 연구
- 중도 발달장애 학생의 과학 교과 교수-학습에 대한 연구 동향 및 향후 과제 고찰
- 특수학급 지적장애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영역 및 영역별 내용 구성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분석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일상생활 활동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초점집단면담 연구
- 일반교육 및 특수교육 자유학기제 연구 동향 분석
- 청각장애인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을 위한 물리치료와 음악치료의 협업 경험에서의 의미 탐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