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와 문화
이용수 10
- 영문명
- KFL Textbooks and Culture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황인교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35호, 409~43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0.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Culture used in KFL textbook is important in enhancing the language-acquisition ability. Moreover, culture is important because it is intricately linked to men who use the language and to society in which the language used. Therefore, textbook should be organized with contents of culture connected to real people's feelings, attitudes and values rather than with those which transmit simple knowledge of culture or information about culture. Textbooks also need to consider the fact that culture influences learner's self-identity and expands the learner's outlook and therefore it can contribute to enhancing communication among nations leading to co-existence of nations and cultur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s culture represented in several textbooks in two categories: one, culture as independent area, two, culture as the area include in people's lives. Three textbooks for general purpose is good at teaching culture by story-telling of personal experience or conversation between characters. But these textbooks have problems in showing the character's view or personalities. Textbooks targeting on immigrated women who married Korean, or overseas Koreans, are not much different in this respect. Because characters in such textbooks lack realistic personalities, they can not affect the formation of the learner's viewpoint and self-identity. Since this study examines only several textbooks, the result of the study is relatively simple and in this sense this study may be only a beginning. But the study offers some solutions to the problem mentioned here so they can be used in actual teaching. Discussion to find solutions to the problems continue and suggestions based on the examination of the text books need to be used efficiently in real teaching.
목차
1. 외국어 교재와 문화
2. 한국어 교재와 문화
3. 한국어 교재의 문화
4. 닫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해외 이민 초기 사회의 한국어 사용과 교육 실태
- 국외 입양인을 위한 한국어・한국문화교육 연구
- 스페인어권 대학 한국교환학생들의 문화간 차이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장애요소
- 총체적 쓰기 평가와 분석적 쓰기 평가의 상관 연구
- 국어 형용사 서술문과 명사 서술문의 상관성
- 중국어권 학습자의 경어법 사용 오류 분석
- 언어의 접촉과 공존
- 외국인 유학생의 학문적 발표에 대한 인식 조사
- 한국어 다기능 형태소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
- 영한 번역시 나타나는 영어 문장부호 대시(Dash)의 변이 양상 및 번역전략 고찰
- 명사화소 ‘-음’, ‘-기’의 패턴 연구
- ‘아무+(N)(이)나’와 ‘N+든지’의 효과적인 제시 방안 연구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와 문화
- 외국인 학습자의 다의어 사용 현황 분석
- 언어 사용 분석을 통해서 본 ‘한류’의 의미 변화 연구
- 한-영 시에 활용된 문화소의 번역 전략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