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영 시에 활용된 문화소의 번역 전략
이용수 5
- 영문명
- Cultural Elements in Korean-English Translation of Poetic Phrases and Translation Strategy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노진서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35호, 127~14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0.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Cultural elements are crucial in cross-cultural translation because they are the key elements which prevent source and target text readers separated by culture from communicating each other without shared prior knowledge and experience. But most of target text readers are unable to share knowledge and experience to communicate the information and connotations of the exotic cultural elements in the original text. Accordingly the translator has to be a mediator to bridge the gap in understanding cultural elements and help the target text readers to share the equivalent connotation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ranslation problems in translating poetry texts by focusing on cultural elements which appear in the translation process. This paper has shown that the poetic phrases of Korean related to cultural elements are translated into those of English by various strategies which have active and diverse compensation mechanisms.
목차
1. 서론
2. 문화소 번역에 관한 이전 연구
3. 한-영 시 번역 텍스트에서의 문화소 번역 전략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해외 이민 초기 사회의 한국어 사용과 교육 실태
- 국외 입양인을 위한 한국어・한국문화교육 연구
- 스페인어권 대학 한국교환학생들의 문화간 차이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장애요소
- 총체적 쓰기 평가와 분석적 쓰기 평가의 상관 연구
- 국어 형용사 서술문과 명사 서술문의 상관성
- 중국어권 학습자의 경어법 사용 오류 분석
- 언어의 접촉과 공존
- 외국인 유학생의 학문적 발표에 대한 인식 조사
- 한국어 다기능 형태소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
- 영한 번역시 나타나는 영어 문장부호 대시(Dash)의 변이 양상 및 번역전략 고찰
- 명사화소 ‘-음’, ‘-기’의 패턴 연구
- ‘아무+(N)(이)나’와 ‘N+든지’의 효과적인 제시 방안 연구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와 문화
- 외국인 학습자의 다의어 사용 현황 분석
- 언어 사용 분석을 통해서 본 ‘한류’의 의미 변화 연구
- 한-영 시에 활용된 문화소의 번역 전략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