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명사화소 ‘-음’, ‘-기’의 패턴 연구

이용수  7

영문명
A Research on the Patterns of Korean Nominalizer {-eum} and {-ki}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발행기관
이중언어학회
저자명
고경태
간행물 정보
『이중언어학』제35호, 1~2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0.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show that the usage pattern is necessary in teaching Korean language to foreign students, especially in teaching the Korean nominalizer {-eum} and {-ki}. For this purpose, the method to extract the usage patterns of the Korean nominalizer {-eum} and {-ki} from large-scale corpora is examined and the list of those usage patterns is shown. Until recently, {-eum} and {-ki} have been recognized that these nominalizers should be taught to foreign students mainly with their meaning and function or with the verbs which co-occur with these nominalizers. But this idea does not ensure the effective results from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is paper, it is proposed that the usage pattern, which include the nominalizer {-eum} or {-ki}, should be taught in chunk unit. For this, I devise the method of drawing up the patterns of {-eum} and {-ki}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Sejong Corpus which is composed of ten million words of Korean and present the list of the patterns of {-eum} and {-ki}.

목차

1. 서론
2. 패턴 중심의 교육론
3. 패턴 추출의 방법론
4. ‘-음’, ‘-기’가 포함된 패턴의 추출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경태. (2007).명사화소 ‘-음’, ‘-기’의 패턴 연구. 이중언어학, (), 1-24

MLA

고경태. "명사화소 ‘-음’, ‘-기’의 패턴 연구." 이중언어학, (2007): 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