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외 입양인을 위한 한국어・한국문화교육 연구
이용수 7
- 영문명
- A Study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for Overseas Adoptee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우인혜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35호, 191~226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0.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an appropriate support plan and a specific course o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for overseas adoptees. Firstly, the study examined the present support conditions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for overseas adoptees, and considered the short-term homeland visit programs being supported mainly by the government or adoption organizations as well as the commissioned education programs carried out by several universities. The study then analyzed a survey conducted on people who are in charge of organizations dealing with overseas adoptees, and based on the results, proposed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instructional materials for overseas adoptees. Lastly, it proposed directions for the overseas adoptees support organizations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s to carry out as follows: 1) Various activities held by many Korea’s adoption protection organizations must be unified. 2) The considerations must be given to some European adoptees who could become isolated. 3) The overseas adoptees must be fostered fully to become a people of Korea as an asset. 4) The age of supported adoptees needs to be lowered and the support should be given according to age. 5)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organizations needs to become long-term and the scope of support needs to be expanded.
목차
1. 서론
2. 국외 입양인을 위한 한국어・한국 문화교육의 현황
3. 국외 입양인을 위한 한국어・한국문화교육의 방향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해외 이민 초기 사회의 한국어 사용과 교육 실태
- 국외 입양인을 위한 한국어・한국문화교육 연구
- 스페인어권 대학 한국교환학생들의 문화간 차이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장애요소
- 총체적 쓰기 평가와 분석적 쓰기 평가의 상관 연구
- 국어 형용사 서술문과 명사 서술문의 상관성
- 중국어권 학습자의 경어법 사용 오류 분석
- 언어의 접촉과 공존
- 외국인 유학생의 학문적 발표에 대한 인식 조사
- 한국어 다기능 형태소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
- 영한 번역시 나타나는 영어 문장부호 대시(Dash)의 변이 양상 및 번역전략 고찰
- 명사화소 ‘-음’, ‘-기’의 패턴 연구
- ‘아무+(N)(이)나’와 ‘N+든지’의 효과적인 제시 방안 연구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와 문화
- 외국인 학습자의 다의어 사용 현황 분석
- 언어 사용 분석을 통해서 본 ‘한류’의 의미 변화 연구
- 한-영 시에 활용된 문화소의 번역 전략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