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언어 사용 분석을 통해서 본 ‘한류’의 의미 변화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A Study on the Semantic Change of ‘Hallyu’ through the Analysis of Language Use: Analysis of the Article of Korean Pres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방성원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35호, 147~16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0.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semantic category of ‘Hallyu’ and the transition of the basic meaning of the words, and to investigate the aspect of Korean's cognition changes. Based on the basic assumption that language users' cognition reflects the aspect of using language, this study focusing on the article of Korean press for ‘Hallyu’ from 2001 to 2006 analyzes the change of social interest, the semantic field in which ‘Hallyu’ has been discussed, the basic meaning of the term, and its collocational rel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of all, since 2001 it is shown that the social interest about ‘Hallyu’ has a similar tendency with the changes of drama exports which is a major leading field in the ‘Hallyu’ which was at its peak in 2005. Next, as a sequel to the analysis and comparisons of the subject field covered by the article of Korean press for ‘Hallyu’ from 2001 to 2006, it has been proven that the semantic category of ‘Hallyu’ has extended into various broad categories or subordinate categories. In addition, when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original meaning of ‘Hallyu’ quoted in an article, it became clear that the attribute of basic meaning has expanded and the frequency of use has changed. Lastly, regarding the result of the meaning attribution targeting contextual collocational relation of the keyword ‘Hallyu’ found in the article, it is apparent that there appear several major changes regarding the cognition of ‘Hallyu’, although the term is obtaining sta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oblems presently involving domestic cognition about ‘Hallyu’ is diagnosed and it suggests where this ‘Hallyu’ discussion needs to proceed.
목차
1. 서론
2. 한류 논의의 배경
3. 한류의 의미 범주
4. 결합 관계를 통해 본 인식의 변화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해외 이민 초기 사회의 한국어 사용과 교육 실태
- 국외 입양인을 위한 한국어・한국문화교육 연구
- 스페인어권 대학 한국교환학생들의 문화간 차이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장애요소
- 총체적 쓰기 평가와 분석적 쓰기 평가의 상관 연구
- 국어 형용사 서술문과 명사 서술문의 상관성
- 중국어권 학습자의 경어법 사용 오류 분석
- 언어의 접촉과 공존
- 외국인 유학생의 학문적 발표에 대한 인식 조사
- 한국어 다기능 형태소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
- 영한 번역시 나타나는 영어 문장부호 대시(Dash)의 변이 양상 및 번역전략 고찰
- 명사화소 ‘-음’, ‘-기’의 패턴 연구
- ‘아무+(N)(이)나’와 ‘N+든지’의 효과적인 제시 방안 연구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와 문화
- 외국인 학습자의 다의어 사용 현황 분석
- 언어 사용 분석을 통해서 본 ‘한류’의 의미 변화 연구
- 한-영 시에 활용된 문화소의 번역 전략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