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수 일지에 나타난 한국어 교사의 성찰과 전문성 개발
이용수 35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flec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rough Analyzing Teaching Journal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최은규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72호, 281~31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ing journal in the perspective of reflection and to conform the contribution of journal writing on the change of the teachers to prove that it is an effective tool for teachers’ expertise development. For this, teaching journals written by 2 new lecturer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 for 6 months were analyzed based on the focus of reflection (belief of teacher, role of teacher, focus on the student, composition of language learning, interaction in the classroom, characteristics of language learning activity, language usage in the classroom). As a result, in terms of teacher, student and teaching and learning, awareness of problem through observation of one’s own teaching and change oriented attitude were verified. Also, as a result of written interviews with 2 participated teachers as target after completing journal writing, they said that they had opportunity to reflect their teachings in several aspects and could utilize the result in the enhancement of teaching. Conclusively, it was possible to find out that journal writing helps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teaching with self-directed activity based on self-motivation of teachers and, in the long term, contribute to the professional growth of teacher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및 논의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국인 교원의 한국어 능력 함양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 기초 연구
- 국외 한국어 교사의 자질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 Long-form Negation in Adult Korean Heritage Speakers
- 베트남어권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 폐쇄음 지각
- 학문목적 학습자의 상호문화 의사소통 능력 함양을 위한 상호문화 감수성 연구
- 외국인 악센트 인지에 대한 분절음과 억양의 상대적 기여
- 학문 목적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발표 담화에 나타난 응결 장치 실현 양상 연구
- 교수 일지에 나타난 한국어 교사의 성찰과 전문성 개발
- 발화 조절에 따른 한국어 모음의 음성적 특징과 오류 양상 분석
- 한국 인터넷 신문 헤드라인의 중국어 번역 양상 연구
- 플립러닝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방안 연구
-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언어능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학습자의 문장 구조 다양화를 위한 관형절 내포문 사용 양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