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학습자의 문장 구조 다양화를 위한 관형절 내포문 사용 양상 연구

이용수  17

영문명
A Study on the Common Usage of Adnominal Embedded Clauses for Diversifying Korean Sentence Structures Used by Korean Learners
발행기관
이중언어학회
저자명
서희정
간행물 정보
『이중언어학』제72호, 87~121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presents the useful contents for teaching adnominal embedded clauses, which diversify Korean sentence structures used by Korean learners. For achieving this goal, this study gave the task converting from 13 simple sentences, 5 conjunctive sentences, and 2 quotations into 20 adnominal embedded clauses to 115 Korean undergraduates and 394 foreign undergraduates in four universities, and then analyzed the adnominal embedded clauses extracted from the task. This analysis showed that foreign undergraduates have difficulty in converting from conjunctive sentences or quotations into adnominal embedded clauses. Also, most of them can not make clear the difference between relative clause and complementary clause. Besides, disagreement between subject and predicate occurs frequently in [noun phrase-i/ga ‘adnominal embedded clause+noun’-ida] construction. Based on this error analysis, four kinds of solutions for reducing the errors in adnominal embedded clause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of all, ‘-daneun’ needs to be explicitly presented as one of the adnominal endings. Secondly, the function of quotation in ‘-daneun’ complement should be clearly presented with ‘-dago hada’. Thirdly, complementary nouns should be presented with complementary endings such as ‘-neun/eun/eul’ or ‘-daneun’. Lastly, the practice expanding noun phrase and the practice converting from verb phrase to noun phrase need to be connected while teaching the agreement between subject and predicate in [noun phrase-i/ga noun phrase-ida] construction.

목차

1. 머리말
2. 관형절 내포문의 교육적 가치
3. 관형절 내포문 도출을 위한 실험 설계
4. 관형절 내포문으로의 변환 양상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희정. (2018).한국어 학습자의 문장 구조 다양화를 위한 관형절 내포문 사용 양상 연구. 이중언어학, (), 87-121

MLA

서희정. "한국어 학습자의 문장 구조 다양화를 위한 관형절 내포문 사용 양상 연구." 이중언어학, (2018): 87-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