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플립러닝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방안 연구
이용수 5
- 영문명
- A study on the Korean culture teaching methods utilizing flipped learning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박성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72호, 55~8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suggest efficient methods for using flipped learning to teach Korean culture to foreign learners in liberal arts classes at Korean universities. It is the general perception that the importance of culture is significantly growing for foreign learners adapting to their lives in college and Korean society. However, the reality of cultural and liberal arts classes for foreign learners at universities is that most of them are large-scale lectures where the instructor unilaterally teaches the predetermined content to students without direct interaction;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elucidate the practical educational significance of such classes. Considering these challenges, this study focuses on alleviating the anxiety and fear of foreign students at a university who will soon enter Korean society and assists them in successfully adapting to life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the flipped learning model by broadly classifying the stages as follows: the before-class - online knowledge acquisition stage; the in-class lecture - interactive cultural capacity enhancement stage; and the extra-class cultural capacity practicing stage.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definition,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through flipped learning, while presenting the flipped learning teaching guide using various video materials for the before-class stage as well as diverse activities during class.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3. 플립러닝 수업 설계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국인 교원의 한국어 능력 함양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 기초 연구
- 국외 한국어 교사의 자질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 Long-form Negation in Adult Korean Heritage Speakers
- 베트남어권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 폐쇄음 지각
- 학문목적 학습자의 상호문화 의사소통 능력 함양을 위한 상호문화 감수성 연구
- 외국인 악센트 인지에 대한 분절음과 억양의 상대적 기여
- 학문 목적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발표 담화에 나타난 응결 장치 실현 양상 연구
- 교수 일지에 나타난 한국어 교사의 성찰과 전문성 개발
- 발화 조절에 따른 한국어 모음의 음성적 특징과 오류 양상 분석
- 한국 인터넷 신문 헤드라인의 중국어 번역 양상 연구
- 플립러닝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방안 연구
-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언어능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학습자의 문장 구조 다양화를 위한 관형절 내포문 사용 양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