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서로 다른 학생그룹의 징계 결과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7
- 영문명
- The Impacts of SWPBIS on School Discipline Outcomes for Divers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이아현 Nicholas A. Gage James McLeskey Anne Corinne Huggins-Manley
- 간행물 정보
-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2019 추계학술대회, 130~130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 지원(school-wide positive behavioral interventions and supports)은 현재 25,000개 이상의 학교에서 널리 운영되고 있다. 기존의 논문에서 긍정적 행동 지원을 통한 오피스 훈육 호출 (office discipline referral)과 유예(suspension) 감소에 대한 긍정적인 실험적 증거를 제시하고 있지만, 이 지원이 서로 다른 학생 그룹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연구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 지원이 모든 학생 그리고 서로 다른 학생 그룹(성별, 인종, 장애)에 미치는 효과를 8가지의 학교 징계 결과(school discipline outcome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준 실험설계에서 성향 점수 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으로 긍정적 행동지원을 충실히 실행하고 있는 112개의 학교와 관련 트레이닝을 받은 적 없는 112개의 학교를 대조하였다. 푸아송 회귀 분석(Poisson regression) 결과, 긍정적 행동 지원을 충실히 실행하고 있는 학교에서 모든 학생뿐만 아니라 남학생, 흑인학생, 그리고 특수학생에게서 징계 횟수가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이는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 지원이 전체적인 학생 문제 행동을 개선하며, 나아가 기존에 학생 집단 간 불평등하게 분배되었던 징계 격차를 줄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긍정적 행동지원 연구 동향
- 지적장애학생 일상생활기술 지도에 대한 초등특수학급 교사들의 인식연구
- 장애인복지관 문화예술교육 담당자가 인식하는 장애인 문화예술교육의 의미
- 통합교육, 나는 무엇을 해야 합니까?
-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년도 추계 학술대회 목차
-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국내 중재연구의 교수학습지도안 분석 연구
- 특수교육 관련 교과서의 연구 동향 분석
- 자기점검 중재가 장애학생의 과제 수행 행동 및 과제 수행 정확률에 미치는 효과
- 교사의 학습장애학생 교육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 연구 동향
-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서로 다른 학생그룹의 징계 결과에 미치는 영향
- 미국 텍사스 주의 특수교육대상 판별절차와 교육제공 및 관련 쟁점
- 일본 특별지원교육 대상자 조기발견과 지원체계
- 한국, 북한, 일본수어의 음운 수준 대조언어학적 특징
- 통합자연사랑 동아리 활동이 친사회성과 재배기술에 미친 효과
- 차이의 교육과 개별화 지원
-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등 일반학급 내 특별지원 요구학생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의 역할과 정체성
-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추계 학술대회 환영사
- 장애영유아를 위한 유아특수교육의 질적 운영 방안
- 발달지체 및 정서행동장애의 조기발견과 지원체계 실천 사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