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북한, 일본수어의 음운 수준 대조언어학적 특징
이용수 20
- 영문명
- Contrastive Linguistic Study on South, North, and Japanese Sign Language at the level of Phoneme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최상배 고은지
- 간행물 정보
-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2019 추계학술대회, 139~139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남북분단 이후 남북한 수어의 이질화는 가속화 되고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남북한 수어가 변이가 아니라 별도의 서로 다른 수어로 변화되고 있는 과정에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한국수어는 대만수어와 함께 일본수어어족(Japanese Sign Languae Family)에 포함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는 한국수어가 언어로 성립되는 과정에서 일제 강점기에 일본수어가 유입되었고 이러한 이유로 한국수어와 일본수어는 유사도가 높다는 선행연구가 있었다. 그러나 해방 이후 한국과 일본수어는 서로 다르게 발전하면서 두 수어의 차이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한국, 북한, 일본수어의 일치 정도와 수어소별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남·북·일본수어 단어는 모두 435개였다. 분석 결과, 3개 수어에서 수어소가 완전히 일치하는 수어는 68개로 16%, 수어소가 1-3개 일치하는 부분일치 수어는 133개로 31%, 수어소가 완전히 불일치하는 수어는 234개로 54%였다. 3개국 수어의 수어소별 일치율을 분석한 결과, 수위 일치도가 33%로 가장 높았고, 수향 30%, 수형 26%, 수동 26% 순이었다. 이 연구 결과는 남·북·일본수어는 이질성이 커서 하나의 어족으로 범주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음을 시사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3개국 수어 특성을 남북, 한일, 북일 수어로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분석 수준을 음운 수준 뿐만 아니라 형태론과 구문론 측면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긍정적 행동지원 연구 동향
- 지적장애학생 일상생활기술 지도에 대한 초등특수학급 교사들의 인식연구
- 장애인복지관 문화예술교육 담당자가 인식하는 장애인 문화예술교육의 의미
- 통합교육, 나는 무엇을 해야 합니까?
-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년도 추계 학술대회 목차
-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국내 중재연구의 교수학습지도안 분석 연구
- 특수교육 관련 교과서의 연구 동향 분석
- 자기점검 중재가 장애학생의 과제 수행 행동 및 과제 수행 정확률에 미치는 효과
- 교사의 학습장애학생 교육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 연구 동향
-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서로 다른 학생그룹의 징계 결과에 미치는 영향
- 미국 텍사스 주의 특수교육대상 판별절차와 교육제공 및 관련 쟁점
- 일본 특별지원교육 대상자 조기발견과 지원체계
- 한국, 북한, 일본수어의 음운 수준 대조언어학적 특징
- 통합자연사랑 동아리 활동이 친사회성과 재배기술에 미친 효과
- 차이의 교육과 개별화 지원
-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등 일반학급 내 특별지원 요구학생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의 역할과 정체성
-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추계 학술대회 환영사
- 장애영유아를 위한 유아특수교육의 질적 운영 방안
- 발달지체 및 정서행동장애의 조기발견과 지원체계 실천 사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