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적장애학생 일상생활기술 지도에 대한 초등특수학급 교사들의 인식연구
이용수 42
- 영문명
- Resource Room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ing Daily Living Skills to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구민관 박영근
- 간행물 정보
-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2019 추계학술대회, 129~129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특수학급 교사들의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일상생활기술 지도의 필요성 인식과 실제 지도 실태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부산광역시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근무 중인 97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온라인 설문 업체를 통해 이메일을 통해 설문지를 배부/회수 하였다. 자료분석은 연구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요인 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일상생활 기술 지도 필요성 및 지도 실제를 알아보기 위해 각 문항에 대한 빈도분석, 배경 변인에 따른 요인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 요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 교사들의 지적장애학생 일상생활기술 지도 필요 인식에 있어서는, 교사들은 지적장애 아동에게 일상생활기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고, IEP 작성시 일상생활기술 지도 관련 내용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특수학급 수준에서 재구성된 교육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며, 지역 지원청, 시도교육청, 혹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특수학급 교사들의 지적장애학생 일상생활 기술 실제 지도에 있어서는 교사들은 학급수준의 교육과정을 수립/적용 정도에 있어서 대부분 학급수준의 교육과정을 수립/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적장애아동의 생활기술 지도를 위한 학급수준교육과정 수립에 익숙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기도 지도 시 주 지도 기술에 있어 다수가 신변 관리를 주로 지도한다고 응답하였고, 주당 일상생활기술 지도 시간에 있어서는 대부분이 2시간 이하로 실시하고 있었으며, 주당 일상생활기술 지도 준비 시간은 대부분 1시간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적인 일상생활기술 지도를 위해 가장 필요한 요소에 있어서는 대부분이 실제로 적용 가능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초등특수학급 교사들의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일상생활 기술 지도의 필요성 인식과 실제 지도간 관계에 있어, 지도에 대한 필요성 인식이 실제 지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긍정적 행동지원 연구 동향
- 지적장애학생 일상생활기술 지도에 대한 초등특수학급 교사들의 인식연구
- 장애인복지관 문화예술교육 담당자가 인식하는 장애인 문화예술교육의 의미
- 통합교육, 나는 무엇을 해야 합니까?
-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년도 추계 학술대회 목차
-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국내 중재연구의 교수학습지도안 분석 연구
- 특수교육 관련 교과서의 연구 동향 분석
- 자기점검 중재가 장애학생의 과제 수행 행동 및 과제 수행 정확률에 미치는 효과
- 교사의 학습장애학생 교육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 연구 동향
-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서로 다른 학생그룹의 징계 결과에 미치는 영향
- 미국 텍사스 주의 특수교육대상 판별절차와 교육제공 및 관련 쟁점
- 일본 특별지원교육 대상자 조기발견과 지원체계
- 한국, 북한, 일본수어의 음운 수준 대조언어학적 특징
- 통합자연사랑 동아리 활동이 친사회성과 재배기술에 미친 효과
- 차이의 교육과 개별화 지원
-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등 일반학급 내 특별지원 요구학생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의 역할과 정체성
-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추계 학술대회 환영사
- 장애영유아를 위한 유아특수교육의 질적 운영 방안
- 발달지체 및 정서행동장애의 조기발견과 지원체계 실천 사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