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기점검 중재가 장애학생의 과제 수행 행동 및 과제 수행 정확률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47
- 영문명
- The Effects of Using a Self-Monitoring Intervention on On-Task Behavior and Accuracy of Language Arts Task Performance in Students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윤혜정 정선화
- 간행물 정보
-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2019 추계학술대회, 137~137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두 명의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점검 중재를 실시하여 과제 수행 행동과 과제 수행 정확률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국어과제 수행 기술을 습득하였으나 지속적이고 정확한 과제 수행이 필요한 자폐성 장애 학생 한 명과 지적장애 학생 한 명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중재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고, 실험은 사설 아동발달 센터에서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 학생들의 국어과제 수행 행동 및 과제 수행 정확률의 향상을 위해 자기점검 중재가 강화전략과 함께 실행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 학생들은 기초선 조건에서 낮은 수준의 과제 수행 행동을 보였으나 중재가 실행되자 국어과제 수행 행동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둘째, 연구 참여 학생의 과제 수행 정확률은 기초선 조건에서 매우 낮은 수준으로 관찰되었으나 중재 실행과 함께 과제 수행의 정확률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참여 학생들의 향상된 과제 수행 행동과 과제 수행 정확률은 중재가 제거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강화전략과 함께 사용된 자기점검 중재가 두 명의 연구 참여 학생들의 독립적인 국어과제 수행 행동 및 과제 수행의 정확률 향상에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긍정적 행동지원 연구 동향
- 지적장애학생 일상생활기술 지도에 대한 초등특수학급 교사들의 인식연구
- 장애인복지관 문화예술교육 담당자가 인식하는 장애인 문화예술교육의 의미
- 통합교육, 나는 무엇을 해야 합니까?
-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년도 추계 학술대회 목차
-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국내 중재연구의 교수학습지도안 분석 연구
- 특수교육 관련 교과서의 연구 동향 분석
- 자기점검 중재가 장애학생의 과제 수행 행동 및 과제 수행 정확률에 미치는 효과
- 교사의 학습장애학생 교육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 연구 동향
-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서로 다른 학생그룹의 징계 결과에 미치는 영향
- 미국 텍사스 주의 특수교육대상 판별절차와 교육제공 및 관련 쟁점
- 일본 특별지원교육 대상자 조기발견과 지원체계
- 한국, 북한, 일본수어의 음운 수준 대조언어학적 특징
- 통합자연사랑 동아리 활동이 친사회성과 재배기술에 미친 효과
- 차이의 교육과 개별화 지원
-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등 일반학급 내 특별지원 요구학생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의 역할과 정체성
-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추계 학술대회 환영사
- 장애영유아를 위한 유아특수교육의 질적 운영 방안
- 발달지체 및 정서행동장애의 조기발견과 지원체계 실천 사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