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의 학습장애학생 교육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이용수 4
- 영문명
- A Study on the Adjustment Process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Focusing on ‘Core Category; Flowers Blooming on the Borders of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이경미
- 간행물 정보
-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2019 추계학술대회, 136~136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습장애는 장애진단 영역에서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학교에서 충분히 보호받아야 하는 학습장애학생은 학교적응에 혼란과 불안한 정체성을 겪고 있으며, 그들을 지도하는 교사는 많은 어려움을 감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나타난 학교교사의 학습장애학생 교육 적응과정에서 발견된 ‘핵심범주’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질문은 “학교교사의 학습장애학생 교육 적응과정은 어떠한가?”이다. 연구 방법은 질적연구로서 상징적 상호작용론에 기반한 근거이론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총 12인으로서 주 참여자 교사(일반 2, 특수 6)8인, 부 참여자로서 학습장애학생 어머니 4인이다. 자료수집은 주로, 개별심층면담과 포커스그룹면담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분석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교사의 학습장애학생 교육 적응과정을 설명하는 핵심범주는 “교육의 경계에서 피어나는 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핵심범주는 인과적 조건, 작용·상호작용전략으로 혼돈기, 직면기, 스트레스기, 체념기, 회복기, 보람기 5단계, 그리고 전략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재적 조건을 거쳐 최종적으로 결과 ‘그럼에도 찾아가는 긍정의 가치’의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 핵심범주와 관련하여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긍정적 행동지원 연구 동향
- 지적장애학생 일상생활기술 지도에 대한 초등특수학급 교사들의 인식연구
- 장애인복지관 문화예술교육 담당자가 인식하는 장애인 문화예술교육의 의미
- 통합교육, 나는 무엇을 해야 합니까?
-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년도 추계 학술대회 목차
-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국내 중재연구의 교수학습지도안 분석 연구
- 특수교육 관련 교과서의 연구 동향 분석
- 자기점검 중재가 장애학생의 과제 수행 행동 및 과제 수행 정확률에 미치는 효과
- 교사의 학습장애학생 교육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 연구 동향
-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서로 다른 학생그룹의 징계 결과에 미치는 영향
- 미국 텍사스 주의 특수교육대상 판별절차와 교육제공 및 관련 쟁점
- 일본 특별지원교육 대상자 조기발견과 지원체계
- 한국, 북한, 일본수어의 음운 수준 대조언어학적 특징
- 통합자연사랑 동아리 활동이 친사회성과 재배기술에 미친 효과
- 차이의 교육과 개별화 지원
-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등 일반학급 내 특별지원 요구학생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의 역할과 정체성
-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추계 학술대회 환영사
- 장애영유아를 위한 유아특수교육의 질적 운영 방안
- 발달지체 및 정서행동장애의 조기발견과 지원체계 실천 사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