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복지관 문화예술교육 담당자가 인식하는 장애인 문화예술교육의 의미
이용수 7
- 영문명
- Meaning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Recognized by Practitioner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at the Community Center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Centered on an Analysis of Metaphor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장오선 전병운
- 간행물 정보
-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2019 추계학술대회, 132~132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 문화예술프로그램 담당자들이 산출한 메타포를 통해 장애인 평생교육 문화예술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애인 복지관에서 실제로 장애인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담당하고 있는 담당자 167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메타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가운데 분석 자료로서의 요건에 충족하지 않는 26명의 자료를 제외한 총 141명의 메타포를 본 연구의 자료 분석 자료로 활용하여 메타포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인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장애인 복지관 담당자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장애인문화예술교육의 존재 이유, 추구 방향, 접근 방법, 성공적 장애인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매개체, 장애인문화예술교육의 기반과 같이 크게 5가지로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장애인 복지관 담당자의 메타포 유형을 분석한 결과, 정서적 행복, 동등한 향유, 사회적 참여, 자존감 향상, 소통과 공감, 함께 하기, 재미있는 배움을 통한 교육, 숨은 노력이 필요한 교육, 자유권 보장, 다양성 인정과 같은 10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 결과를 기초로 장애인평생교육에 있어서의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긍정적 행동지원 연구 동향
- 지적장애학생 일상생활기술 지도에 대한 초등특수학급 교사들의 인식연구
- 장애인복지관 문화예술교육 담당자가 인식하는 장애인 문화예술교육의 의미
- 통합교육, 나는 무엇을 해야 합니까?
-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년도 추계 학술대회 목차
-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국내 중재연구의 교수학습지도안 분석 연구
- 특수교육 관련 교과서의 연구 동향 분석
- 자기점검 중재가 장애학생의 과제 수행 행동 및 과제 수행 정확률에 미치는 효과
- 교사의 학습장애학생 교육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 연구 동향
-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서로 다른 학생그룹의 징계 결과에 미치는 영향
- 미국 텍사스 주의 특수교육대상 판별절차와 교육제공 및 관련 쟁점
- 일본 특별지원교육 대상자 조기발견과 지원체계
- 한국, 북한, 일본수어의 음운 수준 대조언어학적 특징
- 통합자연사랑 동아리 활동이 친사회성과 재배기술에 미친 효과
- 차이의 교육과 개별화 지원
-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등 일반학급 내 특별지원 요구학생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의 역할과 정체성
-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추계 학술대회 환영사
- 장애영유아를 위한 유아특수교육의 질적 운영 방안
- 발달지체 및 정서행동장애의 조기발견과 지원체계 실천 사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