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발달지체 및 정서행동장애의 조기발견과 지원체계 실천 사례

이용수  48

영문명
Practical Cases of Early Identification and Support Services for Developmental Delay and Emotional Behavioral Disorder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윤치연
간행물 정보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2019 추계학술대회, 29~41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국내에서도 약 20년 전부터 장애 혹은 장애 위험 영유아 조기 발견을 위한 진단·평가방안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를 조기 발견하여 적절한 중재와 유아특수교육서비스를 제공하면, 장애를 예방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영유아의 교육 및 가족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하며, 궁극적으로 국가의 특수교육 및 사회복지 예산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 오기 때문이다. 그러나 영유아들이 뚜렷한 장애를 보이지 않을 때는 장애 여부를 판정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장애 및 장애 위험 영유아를 가능한 조기 발견하여 적절한 중재를 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조기발견 체계가 필요하다. 선행연구자들은 장애아동을 조기 발견하는 체계와 체계적인 서비스의 관리 및 서비스 통합을 촉진시킬 수 있는 서비스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국내 장애아동의 조기발견 및 중재와 관련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연계망 구축과 지역사회 중심의 선별프로그램 개발과 같은 종합적이고 총체적인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협력적 의뢰·추적 체계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할 것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아직도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들의 조기발견 및 조기지원 체계와 지역사회와의 연계망이 부족한 실정이다. 흔히 영유아기에 나타날 수 있는 장애 및 장애 위험군은 발달지체 및 정서행동장애로, 전체 영유아들 중 약 10% 정도가 이런 문제를 겪고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 그러나 영유아보육을 담당하고 있는 어린이집에서는 영유아의 발달문제와 장애를 선별할 수 있는 전문인력이 거의 없는 실정이므로, 전문기관과 연계하여 체계적인 발달평가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상담/평가 전문기관, 어린이집연합회, 지자체(시,군,구)와의 협력 체계를 구축한 다음, 지역사회와 연계한 지원 체계 모형을 만들고, 이를 토대로 ABC 실천방안을 제시하고, 〈2019년 홍성군 영유아발달평가사업〉을 진행한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발달지체 및 정서행동장애 조기발견 및 지원체계: - 2019년 영유아발달평가 사업 실천 사례 중심 -
Ⅲ. 결론: 사업의 평가와 의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치연. (2019).발달지체 및 정서행동장애의 조기발견과 지원체계 실천 사례.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2019 (12), 29-41

MLA

윤치연. "발달지체 및 정서행동장애의 조기발견과 지원체계 실천 사례."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2019.12(2019): 29-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