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 특별지원교육 대상자 조기발견과 지원체계
이용수 16
- 영문명
- Early Detection and Early Support Syste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chools for Special Needs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은하
- 간행물 정보
-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2019 추계학술대회, 63~8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일본의 특별지원교육은 대상자들의 자립이나 사회참가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 개개인의 교육적 요구를 파악하고 특별한 배려 아래 적절한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특별지원교육 대상자는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체부자유, 지적장애, 병약·신체허약, 자폐증이나 정서행동장애, 학습장애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이다. 대상아동들은 특별지원학교나, 일반학교의 특별지원학급, 통급지도에 배치 될 수 있으며 취학은 지자체마다 학생 본인과 부모의 의견을 존중하여 교육위원회가 결정한다. 발달장애인지원법이 제정되면서 발달장애에 해당하는 학습장애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아동의 조기발견과 지원에 힘쓰게 되었다. 장애의 조기발견은 주로 영유아 검진과 취학 전 검진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진단 후 아동, 보호자, 교사 등에 대한 지원을 위해서 순회상담 지원과 같은 순회지원 사업을 실시하여 아동의 진단부터 취학 후의 지원까지도 간접적으로 지원해 준다. 특별지원학교에서는 특별지원 코디네이터를 선정하여 학교와 학교 밖을 연계하여 학생들의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일관된 특별지원교육을 위한 지역의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일본의 특별지원교육
Ⅱ. 장애아동의 조기발견 시스템
Ⅲ. 특별지원교육 대상아동을 위한 조기지원
Ⅳ. 일관된 지원을 위한 취학 후의 특별지원교육
Ⅴ. 일관적 지원을 위한 취학 전 기관과 초등학교의 소통 사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긍정적 행동지원 연구 동향
- 지적장애학생 일상생활기술 지도에 대한 초등특수학급 교사들의 인식연구
- 장애인복지관 문화예술교육 담당자가 인식하는 장애인 문화예술교육의 의미
- 통합교육, 나는 무엇을 해야 합니까?
-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년도 추계 학술대회 목차
-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국내 중재연구의 교수학습지도안 분석 연구
- 특수교육 관련 교과서의 연구 동향 분석
- 자기점검 중재가 장애학생의 과제 수행 행동 및 과제 수행 정확률에 미치는 효과
- 교사의 학습장애학생 교육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 연구 동향
-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서로 다른 학생그룹의 징계 결과에 미치는 영향
- 미국 텍사스 주의 특수교육대상 판별절차와 교육제공 및 관련 쟁점
- 일본 특별지원교육 대상자 조기발견과 지원체계
- 한국, 북한, 일본수어의 음운 수준 대조언어학적 특징
- 통합자연사랑 동아리 활동이 친사회성과 재배기술에 미친 효과
- 차이의 교육과 개별화 지원
-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등 일반학급 내 특별지원 요구학생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의 역할과 정체성
-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추계 학술대회 환영사
- 장애영유아를 위한 유아특수교육의 질적 운영 방안
- 발달지체 및 정서행동장애의 조기발견과 지원체계 실천 사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