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법적 연어와 한국어 교육
이용수 13
- 영문명
- Grammatical Collocation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ed on Josajeok Yeoneo(postposition-like collocation).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임근석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0권 3호, 161~18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show the list of Josajeok Yeoneo and examine three dictionaries which might be looked up frequently by Korean language learners. Josajeok Yeoneo is a subtype of grammatical collocation and functions as a Josa(postposition) like any other regular Josa. To achieve these goals, we suggest the criteria briefly, which was originally discussed in Lim(2005, 2006), to judge Josajeok Yeoneo and show the process of applying them to stochastically extracted data. Through this way, we can get 71 constructions of Josajeok Yeoneo. Finally we can see a table showing how the three dictionaries deal with the list suggested in this paper. (OLST at Montreal University)
목차
1. 서론
2. 조사적 연어 판별을 위한 문법적 연어의 특성
3. 조사적 연어 판별
4. 사전에서의 조사적 연어 처리
5. 결론 및 남은 문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