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재영한글학교: 주요 쟁점들과 발전 방향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앤드류 핀치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0권 3호, 205~23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재영한글학교의 현황을 살펴보며, 재영한글학교의 발전을 위한 8가지 쟁점들을 검토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영국 소재 9개 한글학교를 대상으로 수업참관, 학교장, 교사, 학부모, 그리고 학생들과의 개별 및 집단 면담을 바탕으로 하였다. 이 논문에서 다루게 되는 학생 집단의 특성은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재영한글학교 학생들 간에는 연령, 한국어를 배우는 이유, 미래 계획에 있어 다양한 분포를 보이고 있다. 둘째, 특히 학생들의 특성으로는 장차 한국으로 귀국할 집단과 영국에서 영주하면서 조상들의 언어와 문화를 배우기를 원하는 집단으로 대별된다. 따라서 토요일에 운영되는 한글학교들은 한국인 2세, 즉 헤리티지 언어교육뿐만 아니라, 한국어 습득과 유지를 위한 교육과정, 교재, 교육방법 등이 시급히 고려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재영한글학교 및 한국인 2세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효율성을 추구하기 위해서 다음 두 가지 사항을 제안하였다. 첫째, 한글학교 교사들에 대한 전문성 개발, 학교의 재정 및 행정적 지원, 적절한 교육과정 개발, 교육자료 및 자재 제공의 지원이 필요함을 밝혔다. 둘째, 학생들의 학습 요구사항 충족과 교사의 학습자에 대한 사회 문화적, 심리 언어적 요구사항 및 이해 측면의 숙달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경북대학교)
영문 초록
목차
1. Introduction
2. Korean Community Schools in the UK
3. HLL and Korean Schools: Literature Review
4. The Study: Issues and Findings
5. Recommendations
6.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웅변서적 연구 - 유형별 검토 및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