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성결혼이민자의 언어불안과 문화적응이 의사소통 의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용수 7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s of Language Anxiety and Acculturation on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주월랑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32권 4호, 303~32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effects of language anxiety and acculturation on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married immigrant women from Vietnam and China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a total of 75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measuring acculturation, language anxiety, and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by using the SPSS Ver.22. First, this study examin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acculturation, and language anxiety between groups according to learner factors(nationality, length of residence, the period of learning Korean language). As a resul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length of residence or period of learning Korean language. This study further measured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learner factors, acculturation, and language anxiety. As a result,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and learner factors did not have correlations. However, the acculturation and language anxiety had correlations with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Also, in order to verify if the acculturation would be applied as a moderating variable when the language anxiety had direct effects on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 acculturation was applied to the language anxiety as a moderating variable, which was not significant on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As a result, each acculturation and language anxiety had effects on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as an individual in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e aspect of reviewing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as it is one of the affective factors of married immigrant women, and has not gained attention so far.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메타버스(Metaverse)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수업 방안 연구
- K-POP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과정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평가를 위한 평가 체계 개발 연구
- 상황 맥락에 따른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웹툰을 활용한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거절 화행 수업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e-PBL 모형과 단계별 스캐폴딩 연구
- 한국어 학술지 논문 초록의 헤지 표현 및 부스터 표현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인식 조사
- 외국인 대학원생의 학술적 언어사용역 인식 양상 연구
- 한국어 이메일 코퍼스에 나타난 고정된 공손 표현 연구
-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에서의 한국어교육 콘텐츠 분석
- 여성결혼이민자의 언어불안과 문화적응이 의사소통 의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한국어 작문 평가를 위한 텍스트 구어성 측정 공식 개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