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K-POP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과정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이용수 45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Experience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Using K-POP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주 Kawata Takao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32권 4호, 193~22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study aims to provide useful implications and insights for designing Practical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the future by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experience using K-POP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articipants. This study was designed using the ‘case study’ metho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using K-POP. First,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shown in the experience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using K-POP, learners tended to pursue the usefulness of knowledge with interest and acquired content focusing on sympathetic messages. Second, in terms of the learning method shown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experience using K-POP, learners developed their learning experience based on discovery learning. In addition, they used the shadowing method, one of the language improvement techniques, and showed an embodied cognitive process that leads to active use of direct speech and writing from passive language learning to listening, reading, and understanding. Third, as a characteristic of learning outcomes that reflect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iences using K-POP, learners collected and shared K-POP-related materials, forming a new participatory culture, and improving their online content media literacy skills. This study reveals practical information on what experience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K-POP provides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ing subjects. The practical reports and analysis results of the case actually provided important clues for reorganizing and designing the curriculum.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메타버스(Metaverse)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수업 방안 연구
- K-POP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과정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평가를 위한 평가 체계 개발 연구
- 상황 맥락에 따른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웹툰을 활용한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거절 화행 수업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e-PBL 모형과 단계별 스캐폴딩 연구
- 한국어 학술지 논문 초록의 헤지 표현 및 부스터 표현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인식 조사
- 외국인 대학원생의 학술적 언어사용역 인식 양상 연구
- 한국어 이메일 코퍼스에 나타난 고정된 공손 표현 연구
-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에서의 한국어교육 콘텐츠 분석
- 여성결혼이민자의 언어불안과 문화적응이 의사소통 의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한국어 작문 평가를 위한 텍스트 구어성 측정 공식 개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