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평가를 위한 평가 체계 개발 연구
이용수 27
- 영문명
- A Study on Developing a Framework for the Evaluation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s a Foreign Language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준호 안정호 임형옥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32권 4호, 225~24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sign and present the framework of an evaluation system for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s a foreign language. To design the framework, this study first looked at the representative evaluation models that have been used for curriculum or educational program evaluation, and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the strengths of the CIPP model.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some case studies of using the CIPP model that has been published in Korea as well as in overseas. And this study reviewed the results of studies conducted to evaluate the foreign language curriculum using the CIPP model. Through this procedure, the framework of an evaluation system was designed. Accordingly, the evaluation category was divided into ‘the plan of the curriculum, the contents and structure of the curriculum, the operation and execut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performance and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so that situation evaluation, input evaluation, process evaluation, and result evaluation are possible. The evaluation stage of the curriculum plan is further sub-categorized into environmental analysis, needs analysis, and curriculum development principles. The stage of the content and structure is sub-categorized into curriculum goals, curriculum content system,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The operation and implementation stage of the curriculum is sub-categorized into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operation support plan, and curriculum execution. Finally, the outcomes and improvement stage are sub-categorized by dividing them into outcomes and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In addition, detailed evaluation items were developed to fit the evaluation contents of each sub-category, and the details were described for each category.
목차
1. 서론
2. 교육과정 평가 모형에 대한 이론적 고찰
3. CIPP 모형을 활용한 교육과정 평가 사례
4. 한국어 교육과정 평가 체계의 개발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메타버스(Metaverse)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수업 방안 연구
- K-POP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과정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평가를 위한 평가 체계 개발 연구
- 상황 맥락에 따른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웹툰을 활용한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거절 화행 수업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e-PBL 모형과 단계별 스캐폴딩 연구
- 한국어 학술지 논문 초록의 헤지 표현 및 부스터 표현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인식 조사
- 외국인 대학원생의 학술적 언어사용역 인식 양상 연구
- 한국어 이메일 코퍼스에 나타난 고정된 공손 표현 연구
-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에서의 한국어교육 콘텐츠 분석
- 여성결혼이민자의 언어불안과 문화적응이 의사소통 의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한국어 작문 평가를 위한 텍스트 구어성 측정 공식 개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