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에서의 한국어교육 콘텐츠 분석

이용수  92

영문명
Analysis of Online KFL Content: Focused on YouTube and Instagram
발행기관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저자명
김규리 김영주
간행물 정보
『한국어교육』32권 4호, 31~6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online KFL(Korean as a Foreign Language) content focused on Youtube and Instagra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value of Youtube and Instagram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compare these two online platforms’ characteristic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way of composing content, interacting with users, and education content (pronunciation, vocabulary, grammar, reading, listening, speaking, writing, culture education). After a series of analyses of the collected content, students who learn the Korean language through Youtube or Instagram were surveyed. Through such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satisfaction with culture, speaking, and vocabulary education is high on Instagram, and culture, listening, grammar education is high on Youtube. In addition, students use various social media features and tools like live streaming, comments section, Instagram hashtags, Youtube community tab which allows them to interact with each other.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온라인 한국어교육 콘텐츠 분석
4. 학습자 만족도 조사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규리,김영주. (2021).유튜브와 인스타그램에서의 한국어교육 콘텐츠 분석. 한국어교육, 32 (4), 31-63

MLA

김규리,김영주.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에서의 한국어교육 콘텐츠 분석." 한국어교육, 32.4(2021): 31-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