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인식 조사
이용수 9
- 영문명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North Korea and Reunification of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태연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32권 4호, 65~9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North Korean defectors, reunification and the requirements for education related to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opics for advanced Korean learners, and to examine the applicable methods and directions for Korean culture education. This study conducted a preliminary survey on level 5 learners of advanced Korean language, and based on this, an in-depth survey was conducted on 34 advanced learners of level 5 and 6 students. In addition, five study participants of different nationalities were selected and conducted 1:1 in-depth intervie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mage of North Korea and North Korean people, the learners perceived the NorthKorean government negatively, but had a sympathetic image of North Koreans, unlike their perception of the North Korean government.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erception of North Korea in the learner’s country and their family’s reaction to them studying in South Korea, there was a tendency to perceive North Korea as a threat and a country with serious human rights issues, but there were both positive and negative responses to the learner’s studying in South Korea. Third, for questions asking about their perception of the reunification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e learners answered that they wished for the reunification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but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actually achieve. Fourth, as a result of the following survey on the demand for education related to North Korea and reunification, it was found that learners are willing to participate in classes, special lectures, and programs dealing with South Korea and North Korea-related topics. By taking a new approach to topics related to South Korea and North Korea, which have not been highlighted in the field of research and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 areas of interest of advanced learners can be expanded to North Korean society, culture, and language. This is expected to motivate learners and inspire learning, as well as help open classes and special lectures, and develop textbooks.
목차
1. 서론
2. 한국과 북한에 대한 인식 연구
3. 연구 방법
4. 한국과 북한에 대한 인식
5. 시사점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메타버스(Metaverse)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수업 방안 연구
- K-POP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과정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평가를 위한 평가 체계 개발 연구
- 상황 맥락에 따른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웹툰을 활용한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거절 화행 수업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e-PBL 모형과 단계별 스캐폴딩 연구
- 한국어 학술지 논문 초록의 헤지 표현 및 부스터 표현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인식 조사
- 외국인 대학원생의 학술적 언어사용역 인식 양상 연구
- 한국어 이메일 코퍼스에 나타난 고정된 공손 표현 연구
-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에서의 한국어교육 콘텐츠 분석
- 여성결혼이민자의 언어불안과 문화적응이 의사소통 의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한국어 작문 평가를 위한 텍스트 구어성 측정 공식 개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