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경음화 발음 교육 방안 연구
이용수 48
- 영문명
-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Korean Glottalization to Vietnamese Student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선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15권 2호, 51~7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8.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peculate about the efficiency of the teaching method of Korean glottalization to Vietnamese students. When Korean glottalization is taught to Vietnamese students, the serious problems are that Korean glottalization is genera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honological context, and Korean glottalization rules have many exceptions. Secondly, because Vietnamese does not have ‘ㄹ’ in coda(Âm Cu i), they are not familiar with the glottalization that is generated by words ending in ‘ㄹ’. To accomplish our purpose, I examined the types of error related to Korean glottalization, and analysed them. According to the results, I will propose an efficient teaching method of Korean glottalization. Firstly, I will show in diagram form the Korean glottalization rules and some typical examples. In the course of these explanations, I will emphasize the morphological features related to Korean glottalization. And I will contrast Korean consonants with Vietnamese consonants.
목차
1. 들어가기
2. 한국어 경음화 현상과 논의의 전제
3. 한국어 경음화의 오류 분석
4. 한국어 경음화에 대한 기존 교육 방법
5. 효율적인 한국어 경음화 교육 방안
6. 마무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