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정된 그림책 읽기와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중복장애 아동의 의미관계 및 어휘 습득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of Adapted Picture Books Reading an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on the Semantic Relation and Vocabulary Acquisition of Children with Multiple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수미 한경임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4권 제1호, 135~15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수정된 그림책 읽기와 AAC 중재가 중복장애 아동의 의미관계와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7세의 초등학교 1학년 아동들로 모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여 아동 한 명과 남 아동 한 명이었다. 연구 참여 아동들의 지능은 59~64 범위였으며, 언어연령은 35개월~40개월이었다. 연구 설계는 행동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그림책을 수정하고 음성산출 의사소통 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와 아동과 함께 책 읽기 활동을 하면서 중재 전략으로 공동관심, 개방형 질문하기, 언어촉구, 모델링, 신체적 촉구를 최소-최대 촉구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수정된 그림책 읽기와 AAC 중재는 본 연구에 참여한 중복장애 아동들의 행위자-행위, 대상-행위, 실체-서술 의미관계 표현과 어휘 습득에 효과적이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AAC를 필요로 하는 중복장애 아동을 위한 그림책 수정과 언어발달 중재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effects of adapted picture book reading and AAC intervention on the semantic relation and vocabulary acquisition of children with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two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cluding one boy and one girl. They were 7 years old, and intellectual quotient were 59~64. Their language age were from 35 months to 40 months. This study used a low tech speech generating device and 12 adapted picture books. The research design was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behaviors. The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used with joint attention, open ended question, request, modelling, and physical prompt.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e adapted picture book reading and AAC intervention effected on the improvement of semantic relation (agent-action, object-action, and entity-statement) and vocabulary acquisition of children with multiple disabiliti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lots of information about the adapted book and language development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multiple disabilitie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보완대체의사소통 몸짓상징의 도상성과 표현 용이성에 따른 유형과 특성
- 자폐 범주성 장애 청소년을 위한 성인기 전환계획 관련 국외 연구 동향 및 과제
- 초등학생의 기초학력부진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및 지원 요구
- 수정된 그림책 읽기와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중복장애 아동의 의미관계 및 어휘 습득에 미치는 효과
- 특수교사의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사회정서역량
- 비디오 자기모델링과 자기점검 연합 중재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지역사회이동 기술에 미치는 효과
-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특수교육 보조인력 제도 관련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과 개선 방안
- 온라인 북클럽 활동이 중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독서태도 및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