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사의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사회정서역량
이용수 0
- 영문명
- Teacher Efficacy and Social-Emotional Competence According to Teachers’ Development Sta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은라 박재국 강은옥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4권 제1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교사발달단계에 따라 교사효능감과 사회정서역량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지원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하여 특수교사 201명을 대상으로 교사발달단계, 교사효능감, 사회정서역량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사 발달단계 양상을 살펴본 결과 능력구축 단계에 해당되는 특수교사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교사효능감과 사회정서역량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인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특수교사 발달단계에 따른 교사효능감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하위영역인 개인적 교사효능감에서 열중성장 단계와 입문수용 단계의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사회정서역량의 경우 하위영역 중 관계관리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사 발달단계에 따른 교사효능감 및 사회정서역량 신장을 위한 전략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upports according to the teachers’ development stage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teacher efficacy and social-emotion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teachers’ development sta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Method: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201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the teachers’ development stage, teacher efficacy, and social-emotional competence. Results: First, as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teachers’ development sta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ratio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capacity building stage was high. The perception of teacher efficacy and social-emotional competence was confirmed to be at a positive level. Second, as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 teachers’ development sta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confirmed between the groups in the satisfaction & complacency stage and entry & acceptance stage. In the case of social-emotional compete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relationship management among the sub-domain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trategies for enhancing teacher efficacy and social-emotion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teachers’ development sta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보완대체의사소통 몸짓상징의 도상성과 표현 용이성에 따른 유형과 특성
- 자폐 범주성 장애 청소년을 위한 성인기 전환계획 관련 국외 연구 동향 및 과제
- 초등학생의 기초학력부진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및 지원 요구
- 수정된 그림책 읽기와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중복장애 아동의 의미관계 및 어휘 습득에 미치는 효과
- 특수교사의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사회정서역량
- 비디오 자기모델링과 자기점검 연합 중재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지역사회이동 기술에 미치는 효과
-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특수교육 보조인력 제도 관련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과 개선 방안
- 온라인 북클럽 활동이 중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독서태도 및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