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의 기초학력부진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및 지원 요구
이용수 3
- 영문명
- A Study on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of Support Regarding Students with Low Basic Academic Skill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전지혜 정하은 최윤정 강민경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4권 제1호, 53~7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기초학력부진(한글 미해득)학생의 선별 및 지도 경험유무에 따른 인식 및 지원 필요성을 분석하여 차후 기초학력부진 학생 지원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와 함의를 제공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방법: 설문조사는 전국의 초등학교 교사 13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수합된 총 99부의 설문지를 SPSS 26.0 프로그램으로 문항에 따라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결과를 산출하였다. 선별 및 지도 경험 유무에 따른 인식 및 지원 필요성 빈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기초학력부진 학생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에 대해 살펴본 결과, 초등교사는 기초학력부진 학생의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으며 법적 제도적 지원 및 치료적 지원의 필요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별 경험 및 지도 경 험 유무에 따라 기초학력부진 학생에 대한 치료적 지원, 선별 검사 도구 사용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별 및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기초학력부진 학생에 대한 인식이 높고 지원 필요성을 더 강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기초학력부진 학생 지원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와 함의를 제공하기 위해 선별 및 지도 경험 유무에 따른 초등교사의 인식 및 필요성의 차이가 있는지 심도 있게 알아보는데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and needs for support of teachers who had experiences of screening, teaching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low basic academic skills. Method: 134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99 respons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in this study. The survey asked about teachers’ overall perceptions and needs for supports according to their screening and teaching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low basic academic skills. Results: As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perception and necessity of students with low basic academic skills, it was foun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e difficulties of students with low basic academic skills and felt the needs for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s and therapeutic suppor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rapeutic supports for students with low basic academic skills and perceptions and necessity of using screening tool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screening experiences and teaching experiences.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with screening and teaching experiences had a higher perceptions of students with low basic academic skills and felt the needs for support more strongly.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xamining in-depth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and necess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screening and teaching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low basic academic skills to provide basic data an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basic education support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보완대체의사소통 몸짓상징의 도상성과 표현 용이성에 따른 유형과 특성
- 자폐 범주성 장애 청소년을 위한 성인기 전환계획 관련 국외 연구 동향 및 과제
- 초등학생의 기초학력부진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및 지원 요구
- 수정된 그림책 읽기와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중복장애 아동의 의미관계 및 어휘 습득에 미치는 효과
- 특수교사의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사회정서역량
- 비디오 자기모델링과 자기점검 연합 중재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지역사회이동 기술에 미치는 효과
-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특수교육 보조인력 제도 관련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과 개선 방안
- 온라인 북클럽 활동이 중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독서태도 및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