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세미나 10 : 포스트 소비에트의 중앙아시아 민족정체성 및 민족주의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정세진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학회 학술대회자료집』2007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003~102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중앙아시아의 민족정체성 및 민족주의는 러시아와의 역사적 기원과 더불어 특히 1991년 독립 이후에 정치적 · 사회적 · 문화적 분야 등을 통해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역사상 처음으로 민족 국가를 이룬 중앙아시아 각 국은 독립 이후에 소연방 시절의 러시아 유산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그리고 과거 공산당 출신이 새로운 중앙아시아 지도자로 등장하면서 자신들의 정권 기반을 공고히 하기 위한 목적으로 권위주의와 민족주의를 정권 유지의 수단으로 활용하였다. 중앙아시아의 민족정체성은 독립 이후 대부분 과거의 소비에트 체제를 극복하는 과정 속에서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각 국의 특수성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본 논고는 중앙아시아의 민족주의와 민족정체성의 특징과 각 국가의 특수성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영문 초록
The breakup of the Soviet Union was one of the most historic, unexpected, phenomena of the twentieth century. After the collapse of Soviet Union, in the Post-Soviet space new stream of the nationalism and the national identity has been started in the process of the nation building. This articles explores nationalism and nationality of the Post soviet Central Asian 5 republics on the formulation of nation building, examining particularly identities of each nation`s special surroundings after Central Asia took independence 1991 years. Modern ethnic nationalism of Central Asia has been calculated by the Russian empire and the Soviet rule. Russia has influenced to the many areas in the Central Asia, above all politics, society, culture. This paper deals with the importance of the national identity since Russian empire rule to the present times so as to understand in Post Soviet Central Asia`s social, cultural, political meanings. The present national identity of the Central Asia has the origin after the conquest of Russian empire. Therefore this paper traces the past history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Russia, Soviet Union and Central Asia. Above all I concentrated the social. ideological changes of the 5 republics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With this understandings, I mainly studied Central Asia`s nationalism examining relationships between Central Asia and the Russia and the Soviet Union, language politics of the Central Asia, relationships between Islam and Nationalism, political authoritarian of the Central Asia` government, above all Uzbekistan and Turkmenistan. This paper aims to evaluate nationalism of the Central Asia in terms of the identity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Central Asia`s peoples and the leaders in the 5 republics. I consider some theoretical frameworks concerning nationalism about the Central Asia. This analysis of course requires a distinction between ethnic and civic nationalism also. I also studied some considerance the Russia`s rule against the Central Asia. I discuss Central Asia`s nationalism in the 4 Central Asian countries : Kazakhstan, Kyrgyzstan, Uzbekistan, and Turkmenistan Modern Central Asia`s nationality developed from their independence, ideological understandings, Islamic revival, one state`s buildings. Central Asia`s identities also existed in the modern period with the territorial and ethnic conflicts between Central Asia`s states, for example, between Uzbekistan and Tajikistan, between Uzbekistan and Kyrgyzsta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세미나 3 : FTA 협상지연과 대중참여제도
- 세미나 10 : 한-인도 FTA의 IT부문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세미나 6 : 중국 부실채권시장에 대한 효율적 투자구조 연구
- 세미나 4 : 생산의 국제적 분할과 동아시아 무역
- 대회사
- 세미나 4 : 베트남의 경제성장은 수출주도형 인가?
- 세미나 9 : BRICs의 세계화, 민주화, 그리고 반부패: 신자유주의적 시각의 경험적 평가
- A Test of Linder Hypothesis for NICs` Trade
- 세미나 8 : 환경회계정보 공시가 주식시장의 정보효과에 관한 연구
- 세미나 7 : 중국 종업원의 지역간,인종간 직무가치관 비교 분석
- 세미나 9 : 탈냉전기 중,러 협력이 동북아 정세에 미치는 영향
- 세미나 6 : 인도 신유통 산업의 발전: 동인 분석 및 성장 시나리오의 예측
- 세미나 1 : 우리나라 정부 및 국방 R&D 사업의 WTO 보조금 적용여부에 관한 연구
- 세미나 1 : 국제상사중재판정의 "취소"와 "집행거부"에 관한 연구
- 세미나 7 : 대기업 소유구조 정착과정과 출자규제의 국제비교
- 세미나 3 : 역내 시장 요새화에 관한 인식과 선제 전략적 유럽 해외직접투자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 세미나 4 : 중국의 금융개혁과 상업은행생산성변화
- 세미나 8 : 통합(統合)된 한(韓),미(美) 업종별(業種別) 자본시장(資本市場)에서의 자산가격결정요인(資産價格決定要因)에 관한 실증연구(實證硏究)
- Governance Review of Global Cooperation Scheme for Counter-terrorismGovernance Review of Global Cooperation Scheme for Counter-terrorism
- 세미나 9 : 일본에 있어서의 전향(轉向)의 정치학
- 세미나 10 : 미국의 앵글로-개신교 문화에 나타난 저항적 프로테스탄티즘: 노동윤리와 개인주의를 중심으로
- 세미나 3 : 재일코리안 기업가의 네트워크 현황 및 활성화 방안
- 세미나 3 : 한국-AFTA 국가간 경제교류증대에 따른 문화콘텐츠 산업 역할
- 세미나 2 : 한국과 FTA 추진국가간의 무역구조에 관한 연구
- 세미나 7 : 우수브랜드 쌀의 구매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세미나 5 : 세계화시대의 경제적 정의와 헌법적 고찰
- 세미나 8 : 21세기형 CEO의 리더십과 니르바나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세미나 8 : 인터넷 기업의 해외학장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 세미나 5 : 우리나라 집권정당별 거시 경제정책 비교
- 세미나 5 : 최근 고유가 이후의 알제리 투자환경 평가
- 세미나 1 : 기술혁신과 경제활동의 연관성에 관한 비교연구: Frequency Domain에서 한국, 미국 그리고 일본 경우
- 세미나 6 : 한국과 미국의 경영학과 학부 및 대학원의 비영리부문 교육 과정에 대한 사례분석
- 세미나 5 : 도시가계의 주류 및 담배의 수요탄력성 추정
- 세미나 3 : 남북교역 증대에 따른 보험의 역할
- 세미나 10 : 일본 개인정보보호제도에 있어서 운영현황 및 법적구성에 관한 고찰
- 세미나 1 : 우리 기업의 호주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호주의 무역제도 및 통상현안에 관한 연구
- 세미나 1 : 스리랑카 BPO 산업의 현황과 과제
- 세미나 10 : 이집트 무슬림형제단과 3대 지파(支派)의 조직 및 성격에 관한 연구
- 세미나 7 : 한중 기업간 효과적인 기술이전 모형연구
- 세미나 8 : 한국과 미국의 미저리 지수 비교연구
- 세미나 4 : 통일과정에서 남북경제협력의 효과
- 세미나 2 : 중국 조선족기업의 네트워크 실태와 지역별 특성에 관한 연구
- 세미나 7 : 중국 물류기업의 경영추세 및 경쟁력 분석
- 세미나 10 : 포스트 소비에트의 중앙아시아 민족정체성 및 민족주의 연구
- 세미나 2 : 한국 청량음료 시장의 경쟁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 세미나 2 : 북경현대차(BHMC)의 중국시장 마케팅 전략: 쏘나타 브랜드를 사례중심으로
- 세미나 2 : 남북 외국환 관련 법률에 관한 연구 -외국환거래법(남한)과 외화관리법(북한)을 중심으로-
- 세미나 6 : 이문화간 국제 협상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 세미나 5 : 우리나라의 세대별 빈곤실태와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