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콜라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7
- 영문명
- The Effects a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Collage on The Self-Esteem and Meaning of Life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정재원(Jung, Jae-Won)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5권 제3호, 193~22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콜라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지체장애인 1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5명씩 구성하였으며, 콜라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에게 주 1∼2회, 80분씩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자아존중감 척도, 삶의 의미척도를 사용하여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에게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을 위해 비모수적 분석인 Mann-Whitney U Test, Wilcoxon Signed-Ranks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는 첫째, 콜라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콜라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삶의 의미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자면, 지체장애인 관련 미술치료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접근법임이 증명되었고 장애인상담과 심리치료현장에서 적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collage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meaning in life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Method: The research subjects included 10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consist of 5 people in each.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collage was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one or two times a week for 80 minutes in a total of 10 sessions. Pre-test and post-test were conducted each sessions 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using self-esteem scale, meaning in life scale.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non-parametric analyses, such as the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Signed-Ranks Test were used. Results: Firs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collage was effective in enhancing the self esteem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collage was effective in enhancing the of life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Conclusion: The group art therapy using an effective approach in the art therapy field related to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Also, this study suggested the suggests applicability of the program in disability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field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65권 제3호 목차
- 콜라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담당 교사의 통합학급 적응 기간 운영 경험과 인식
- 여성 지체장애인의 자존감 잠재계층에 따른 삶의 만족, 행복의 차이
- 장애인 차별 경험과 우울감의 관계 연구
- 발달중복장애인의 활동하는 삶 기반 고용 모델(Active Life Valued Employment Model)
- 스마트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특수교사의 요구도 분석
- 장애 대학생 교육활동지원사업 활성화 방안연구
- 중증 뇌병변장애인 가족의 긴급돌봄시설 요구와 지원에 관한 연구
- 장애학생 진로교육 역량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실행수준 및 교육요구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플라톤의 「고르기아스」: 수사술과 논박
- ‘자기 형성’에 관한 도덕교육의 철학적 기반 탐색: 「중용」(中庸)의 ‘성’(誠)과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의 ‘자기 진실성’ 개념을 중심으로
- 동서양 사상에 기반한 인성교육 방향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