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 대학생 교육활동지원사업 활성화 방안연구
이용수 6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the Educational Activity Support Projec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a Survey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Expert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전혜영(Jeon, Hye Yeong) 박재국(Park, Jae Kook) 표윤희(Pyo, Yun Hui) 최진혁(Choi, Jin Hyeok)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5권 제3호, 45~7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교 현장에서 교육활동지원사업 진행의 편의성을 고려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장애대학(원)생과 전문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문항은 실무자의 타당도 검정을 거쳐 전문가용과 학생용으로 구분하였으며, 분석은 SPSS를 통해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으며, 의견 기술 내용은 내용분석으로 핵심내용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첫째, 사업참여, 운영현황, 보조공학기기 구비 및 지원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시스템, 사업 신청 및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둘째, 장애학생의 사업수혜 현황과 보조공학기기 지원 현황을 살펴볼 수 있었다. 결론: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사업 신청과 운영의 간소화, 요구에 적합한 보조공학기기 구비 및 지원, 교육부와 사업비 예산 융통성 논의 필요, 필요한 경우 업체 위탁 가능성, 교육지원 인력풀 마련, 교수자의 배려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plan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conducting educational activity support projects in universities.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experts.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divided into those for experts and students through examining validity with practitioners. The core contents were deriv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hrough SPSS and opinion description contents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project participation, operation status, provision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support status were examined. There were difficulties in system and project application and management. Second,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status of project benefits and support for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Simplification of project application and operation based on the contents derived from the research results, provision and support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suitable for needs, discussion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 on budget flexibility for project expenses, possibility of consignment to companies if necessary, and preparation of training support manpower pool appeared to be needed for car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65권 제3호 목차
- 콜라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담당 교사의 통합학급 적응 기간 운영 경험과 인식
- 여성 지체장애인의 자존감 잠재계층에 따른 삶의 만족, 행복의 차이
- 장애인 차별 경험과 우울감의 관계 연구
- 발달중복장애인의 활동하는 삶 기반 고용 모델(Active Life Valued Employment Model)
- 스마트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특수교사의 요구도 분석
- 장애 대학생 교육활동지원사업 활성화 방안연구
- 중증 뇌병변장애인 가족의 긴급돌봄시설 요구와 지원에 관한 연구
- 장애학생 진로교육 역량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실행수준 및 교육요구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플라톤의 「고르기아스」: 수사술과 논박
- ‘자기 형성’에 관한 도덕교육의 철학적 기반 탐색: 「중용」(中庸)의 ‘성’(誠)과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의 ‘자기 진실성’ 개념을 중심으로
- 동서양 사상에 기반한 인성교육 방향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