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마트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특수교사의 요구도 분석
이용수 12
- 영문명
- Analysis of the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Strengthen SMART Education Cap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박경옥(Park, Kyoung Ock) 오정숙(Oh, Jung Sook)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5권 제3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특수교사의 스마트교육 역량 지원을 위해 특수교사의 스마트교육 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분석하고, 요구도와 우선순위 파악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149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13개 영역 71개 문항에 해당하는 특수교사의 스마트교육 역량 대한 인식을 온라인 설문을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스마트교육 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간에 차이를 보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고, 스마트 교육 역량 개발을 위한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해서 보리치 요구도 분석과 LF모델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사의 스마트교육에 대한 특수교사 역량에 대해 13개 영역 모두 실행도보다는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다만, ‘사회적 네트워크 기술’에 대해 교사들은 중요도보다 실행도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특수교사의 스마트교육 역량에 대한 요구도를 바탕으로 보리치 요구 분석과 LF모델 분석을 통해 최우선 순위를 도출한 결과, ‘실천 역량 중 미래교육에 대한 이해과 평가와 성찰 영역에대한 지원 요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대상 학생의 스마트교육을 효율성과 효과성을 도모하기 위해 필요한 특수교사의 역량 개발에 필요한 우선지원 영역을 중심으로 논의하고, 이 연구의 제한점과 관련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smart education competen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o identify their needs and priorities. Method: 149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surveyed online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mart education capabilities corresponding to 71 questions in 13 areas. IPA(important-performance analiys), Borwich demand analysis, and LF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as research methods. Results: First, in terms of the competency for smart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importance level in all 13 areas were reported higher than the performance level,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eachers perceived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higher than the importance of 'social network technology'. Second, as a result of deriving the top priority through Borwich demand analysis and LF model analysis based on special teachers' demand for smart education competenc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high demand for understanding, evaluation, and reflection of future education among practical competencies. Conclusion: In order to foster the efficient smart education of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the researchers discussed and suggested the priority support of the competency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uld have.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65권 제3호 목차
- 콜라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담당 교사의 통합학급 적응 기간 운영 경험과 인식
- 여성 지체장애인의 자존감 잠재계층에 따른 삶의 만족, 행복의 차이
- 장애인 차별 경험과 우울감의 관계 연구
- 발달중복장애인의 활동하는 삶 기반 고용 모델(Active Life Valued Employment Model)
- 스마트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특수교사의 요구도 분석
- 장애 대학생 교육활동지원사업 활성화 방안연구
- 중증 뇌병변장애인 가족의 긴급돌봄시설 요구와 지원에 관한 연구
- 장애학생 진로교육 역량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실행수준 및 교육요구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플라톤의 「고르기아스」: 수사술과 논박
- ‘자기 형성’에 관한 도덕교육의 철학적 기반 탐색: 「중용」(中庸)의 ‘성’(誠)과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의 ‘자기 진실성’ 개념을 중심으로
- 동서양 사상에 기반한 인성교육 방향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