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학생 진로교육 역량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실행수준 및 교육요구 분석

이용수  9

영문명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mportance Level and Educational Needs for Improving the Career Education Competenc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박미화(Park, Mi-Hwa)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5권 제3호, 227~25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7.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초등학교에 통합되어 있는 장애학생 진로교육 역량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중요성 인식과 실행수준을 알아보고, 진로교육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를 밝히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경기도 지역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총 155부를 SPSS Statistics 26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학교 교사는 통합된 장애학생의 진로교육 역량에 대한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실행수준보다 중요성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육 요구가 높은 역량은 진로교육 운영에 대한 역량으로 창의적 체험활동 및 지역사회 체험학습과 활동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역량과 장애학생 학부모 대상 진로진학상담 역량이었다. 셋째, 담당학급, 통합교육 경험 유무, 교직경력에 따라 교육요구의 최우선 순위의 차이가 있었다. 결론: 교육요구 우선순위에 속하는 역량들을 교육하고 지원하기 위해 다양하고 실제적인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겠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examin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the career education competenc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elementary school, 2) to assess their level of implementation, and 3) to clarify the educational needs for improving career education.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elementary teachers in Gyeonggi-do. A total of 155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6. Results: Firs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career education competenc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more than the level of performance. Second, the implementation of the career educa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for educational needs. The factor includes the implementation of creative, local, career-related field studies and activity programs as well as career counseling for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rd, the priority of educational needs depended on the teacher’s class, the experience of inclusive education, and teaching experience. Conclusion: To educate and support prioritized competencies based on educational needs, a variety of practical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미화(Park, Mi-Hwa). (2022).장애학생 진로교육 역량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실행수준 및 교육요구 분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5 (3), 227-252

MLA

박미화(Park, Mi-Hwa). "장애학생 진로교육 역량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실행수준 및 교육요구 분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5.3(2022): 227-2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