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담당 교사의 통합학급 적응 기간 운영 경험과 인식

이용수  6

영문명
Middle and High School Special Class Teachers’ Experience and Awareness of Managing the Period of Adaptation to Inclusive Classrooms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임효경(Im, Hyo-Kyung)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5권 제3호, 161~19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7.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통합교육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중등특수 교사들의 통합학급 적응 기간 운영 경험과 그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중·고등학교 통합교육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경력 17년 이상의 중등 특수교사 5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현상학적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심층 면담과 비참여관찰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4개의 대주제와 17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기 초 통합교육 현장에서 운영되는 통합학급 적응 기간은 학생들의 장애 정도 및 학생 수, 학생들의 성숙도, 학교 규모, 특수교사의 노하우에 따라 유동적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적응 기간 중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적응 기간 중 통합교육의 모습은 교과와 통합담당 교사의 특성, 통합담당 교사의 협력 정도, 학교 유형과 학급 분위기, 특수교사의 역량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넷째. 효율적인 통합학급 적응 기간 운영을 위해서는 특수교사가 학교 유형별 현장과 학교 내 일정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어야 하며, 유연한 사고를 갖고 통합담당 교사, 학부모와 협력체계를 유지하며 지원인력을 활용하는 노하우를 지녀야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고등학교 통합학급 적응 기간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의 역할과 지원영역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middle and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during the inclusive class adaptation period. Method: Five middle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more than 17 years of experience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with whom in-depth interviews and non-participant observation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four major themes and 17 sub-themes were derived. Results: First, the period of adaptation to inclusive classes was flexibly opera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sability and the number of students, the maturity of the students, the size of the school, and the know-how of special teachers.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at it was most important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receiving special education services during the adaptation period. Third, special education was manag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 degree of cooperation of the teachers in charge of inclusive education, the type of school and class atmosphere, and the competence of special teachers. Fourth, in order to operate effective adaptation periods,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and the school schedule. In addition, they needed to have flexible thinking, maintain a cooperative system, and have the know-how to utilize support personnel.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discussions on the role and support area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management of the inclusive class adaptation period and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효경(Im, Hyo-Kyung). (2022).중·고등학교 특수학급 담당 교사의 통합학급 적응 기간 운영 경험과 인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5 (3), 161-192

MLA

임효경(Im, Hyo-Kyung).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담당 교사의 통합학급 적응 기간 운영 경험과 인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5.3(2022): 161-1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