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 침향목 표착의 서사(context)
이용수 22
- 영문명
- Japanese Narratives of the drift of Agarwood: Ancient Korea-Japan Fragrance Tree Exchange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97輯, 415~43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595年『日本書紀』記事には日本で初めての「香木」が登場する。ここには「沈香」「栴檀香」のような具体的な香の名が出ており、この記事を前後して韓半島の仏教伝来と高句麗僧らの渡日、新羅を通じた香の流入などが見られる。 従来、日本の学界で香木漂着事件は単一事件として扱われていたが、この一連の事件は有機的につながっていると考える。その判断の根拠として、まず香と仏教との関連性を挙げることができる。香は仏事には欠かせない大切な品である。第二、韓半島を通じた仏教伝来と香の輸入である。 また、香木が漂着した場所を日本神話発祥の地であり、天皇家の根源ともいえる淡路島に設定したことは、一層「神聖な」香木ナラティブを完成させる一助となる。その後、聖徳太子伝暦に登場する香木に関する叙述も太子の霊験な能力と神聖性を強調するための敍事として作用する。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grammatical restriction of KARA, NODE. And to carry out this reconsideration, the writer surveyed Koreans learning Japanese and researched the acquisition process through it. In the article “Nihon Shoki” in 595, “香木”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Japan. Specific incense names such as “沈香” and “栴檀香” are mentioned here, and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on the Korean Peninsula, the arrival of Goguryeo monks to Japan, and the inflow of incense through Silla can be seen before and after this article. In the past, the Koki drifting incident was treated as a single incident in Japanese academia, but this series of incidents is considered to be organically connected. The first reason for this judgment is the connection between incense and Buddhism. Incense is an indispensable and important item in Buddhist affairs. Second,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and the importation of incense through the Korean Peninsula. Furthermore, the establishment of Awaji Island, the birthplace of Japanese mythology and the origin of the Emperor’s family, helps to complete the “sacred” Koki narration. After that, the description of the incense tree in “The Legend of Prince Shotoku” also serves as an epic to emphasize the prince’s spiritual ability and holiness.
목차
1. 머리말
2. 595년 아와지섬 침향목 표류의 서사
3. 『聖徳太子伝暦』의 향목 서사(context)
4. 『日本書紀』671년 기사의 침수향․전단향
5. 8세기이후 신라를 통한 일본 향의 수급
6.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サ変動詞の尊敬語の使用実態: 「なさる」と「される」の比較を中心に
- 한일 소년탐정소설 연구
- 『伊勢物語』第三十五段の「あわ緒」について: 旧注から新注の『伊勢物語古意』への注解
- 규슈대학 도서관 소장 『蜻蛉日記』 판본연구
- 温度形容詞「あつい」「あたたかい」「ぬるい」の意味分析: 比喩による意味拡張を中心に
- 現代教育にみる木簡の位置づけ: 日本の義務教育に使用される社会科․歴史教科書から
- 근대한자어 「감염」의 일고찰
- ハンガリー語の形容詞述語文に関する一考察: 日本語との比較を中心に
- 日本語母語話者の雑談における言いさし表現: スピーチレベルによる使用様相と機能を中心に
- 断わり談話における日韓の文末表現: 「ノダ」「ソウダ」「ヨウダ」「カモシレナイ」「것같다」「거든」を中心に
- 한국과 일본의 도시에 투영된 언어문화자산
- 플립러닝을 활용한 일본 문학 수업 운영에 관한 연구
- 포털 및 SNS 일본어 데이터의 감성분석을 통해 본 한국 사회의 일본어 소비
- 코로나19로 인한 평생교육 일본어 학습자의 비대면 온라인 화상수업 실태 및 만족도 조사
- 「のだ․わけだ」の機能に関する考察: 韓国語「것이다」との対照から
- 일본 근세시대 재해 문예와 재해 피해자
- 『나는 고양이로소이다(吾輩は猫である)』에 대한 소고
- 나카하라 츄야(中原中也) 문학에 나타난 <자기 상실(自己喪失)>에 대한 고찰
- 能因の「想像奥州十首」に関する試論家集での位相及び詠歌契機
- 일본 신학습지도요령의 전면실시를 위한 이행기간의 영어교육
- 일본 침향목 표착의 서사(context)
- 독도의 강치를 둘러싼 한일 간의 인식 고찰
- 한·일 영화 속의 미군 기지촌 문화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