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 신학습지도요령의 전면실시를 위한 이행기간의 영어교육
이용수 13
- 영문명
- English Education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for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New Course of Study in Japan: Focusing on Middle Schools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97輯, 397~41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日本で2021年から全面的に実施された新学習指導要領に準拠した中学校英語教育は、2019年から2年間の移行期間を経てきた。本研究は、この移行期間にて行なう中学校英語教育を文部科学省の移行措置を含めた多様な資料などに基づき、その内容や方法などの様子を観察したものである。考察の結果、日本の英語教育改革のために新学習指導要領の目指す方向性(使える英語)は明らかになったと言えよう。とくに、使える英語に向けて、授業は英語で行うこと(Teaching English in English, 以下、TEE)を基本とし、学習内容に踏み込んだ言語活動を重視していくことは注目される。実質的なコミュニケーションのために学習語彙の大幅増加も目立つ。 一方、一時TEEを取り入れたことのある韓国の中等英語教育では、現在はそれほど強調していない。これに対し、TEEを新学習指導要領の目玉にした日本では、これから思考力․判断力․表現力などの涵養と共に、どのようにバランスを取って実現していくのか注目したい。今後、日本の英語教育改革に対する動向を観察することは韓国の中等外国語教育への示唆も少なくないものと思われる。
영문 초록
Japan has provided a transition period of two years from 2019 for the full implementation of middle school English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New Course of Study in 2021. This study observed the appearance of middle school English education to be implemented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based on various data including transitional measure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direction the new study guideline for the reform of English education in Japan is aimed at is practical English.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English classes are based on Teaching English in English (TEE), and that in-depth language activities are emphasized in the learning content. It is also noteworthy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significantly increased the vocabulary for practical communica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other hand, although TEE was once introduced in secondary English education in Korea, it is currently not emphasized much. On the other hand, in Japan, TEE was specified in the New Course of Study guidelines. It is noteworthy how Japan will achieve TEE and the cultivation of thinking, judgments, and expressions in a balanced way. Observing the trend of Japanese education reforms in the future will have many implications for the secondary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Korea.
목차
1. 머리말
2. 조사의 기초자료
3. 신학습지도요령의 전면실시를 위한 이행기간
4. 이행기간 중의 중학교 교육과정의 기본방침
5. 신학습지도요령의 전면실시를 위한 이행기간 중의 중학교 영어교육
6. 액티브러닝의 활성화
7.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サ変動詞の尊敬語の使用実態: 「なさる」と「される」の比較を中心に
- 한일 소년탐정소설 연구
- 『伊勢物語』第三十五段の「あわ緒」について: 旧注から新注の『伊勢物語古意』への注解
- 규슈대학 도서관 소장 『蜻蛉日記』 판본연구
- 温度形容詞「あつい」「あたたかい」「ぬるい」の意味分析: 比喩による意味拡張を中心に
- 現代教育にみる木簡の位置づけ: 日本の義務教育に使用される社会科․歴史教科書から
- 근대한자어 「감염」의 일고찰
- ハンガリー語の形容詞述語文に関する一考察: 日本語との比較を中心に
- 日本語母語話者の雑談における言いさし表現: スピーチレベルによる使用様相と機能を中心に
- 断わり談話における日韓の文末表現: 「ノダ」「ソウダ」「ヨウダ」「カモシレナイ」「것같다」「거든」を中心に
- 한국과 일본의 도시에 투영된 언어문화자산
- 플립러닝을 활용한 일본 문학 수업 운영에 관한 연구
- 포털 및 SNS 일본어 데이터의 감성분석을 통해 본 한국 사회의 일본어 소비
- 코로나19로 인한 평생교육 일본어 학습자의 비대면 온라인 화상수업 실태 및 만족도 조사
- 「のだ․わけだ」の機能に関する考察: 韓国語「것이다」との対照から
- 일본 근세시대 재해 문예와 재해 피해자
- 『나는 고양이로소이다(吾輩は猫である)』에 대한 소고
- 나카하라 츄야(中原中也) 문학에 나타난 <자기 상실(自己喪失)>에 대한 고찰
- 能因の「想像奥州十首」に関する試論家集での位相及び詠歌契機
- 일본 신학습지도요령의 전면실시를 위한 이행기간의 영어교육
- 일본 침향목 표착의 서사(context)
- 독도의 강치를 둘러싼 한일 간의 인식 고찰
- 한·일 영화 속의 미군 기지촌 문화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