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19로 인한 평생교육 일본어 학습자의 비대면 온라인 화상수업 실태 및 만족도 조사
이용수 39
- 영문명
- The Actual Situation and Satisfactions of the Learners of Japanese in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in Lifelong Education due to COVID-19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97輯, 205~22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本研究では新型コロナウイルスの感染拡大に伴い、対面から非対面授業に切り替わった生涯学習に参加した日本語学習者を対象にアンケート調査を行い、リアルタイム型のオンライン授業の実態及び満足度を把握するとともに、改善点についても調べてみた。その結果をまとめると以下の通りである。 第一に、オンライン授業中に発生した技術的な問題に対して「解決能力が低い」という回答が最も多く、次いで「インターネット情報検索能力が低い」「授業プログラムやサイトへの接続方法が難しい」「コンピュータや電子機器の活用能力が低い」の順で回答した。このような結果は生涯学習に参加する学習者の主な年代が50代∼70代(79.4%)であることと関連があると考える。第二に、オンライン授業に対する満足度は44.1%の割合であり、比較的低い満足度を示した。第三に、最適なオンライン授業のための改善点については「講師と学習者及び学習者間の円滑なコミュニケーションが必要である」「外国語の授業なので学習者が積極的に参加できる教育プログラムを開発してほしい」「通信エラーによる音声トラブルなどの不具合が発生した時は途切れず利用できるよう迅速な対応が必要である」と回答した。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tatus, satisfaction level, and improvements of untact instructions for the learners of Japanese who participated in lifelong education which was converted to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due to the situation of the COVID-19 Pandemic.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smartphone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devices for online course by the learners, followed by computers, laptops, and tablets in this order. Second, for technical problems that occurred during online untact instructions, the highest opinion was ‘lacking in coping ability’ followed by ‘lacking in internet information search’, ‘the access to the class website is difficult’, and ‘lacking in utilizing capability of a computer or an electronic equipment’ in this order. Third, the rate for overall satisfactions about the online non-face-to- face classes was 44.1%. Lastl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improvements for the good quality of online untact instructions, there were opinions such as ‘It needs more smooth interactions with the instructor’,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learning materials’, ‘It would be better to develop a curriculum for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a class’, and ‘When an Internet error occurs, a prompt and appropriate response is required’.
목차
1. 머리말
2. 선행연구
3. 조사 방법
4. 결과분석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サ変動詞の尊敬語の使用実態: 「なさる」と「される」の比較を中心に
- 한일 소년탐정소설 연구
- 『伊勢物語』第三十五段の「あわ緒」について: 旧注から新注の『伊勢物語古意』への注解
- 규슈대학 도서관 소장 『蜻蛉日記』 판본연구
- 温度形容詞「あつい」「あたたかい」「ぬるい」の意味分析: 比喩による意味拡張を中心に
- 現代教育にみる木簡の位置づけ: 日本の義務教育に使用される社会科․歴史教科書から
- 근대한자어 「감염」의 일고찰
- ハンガリー語の形容詞述語文に関する一考察: 日本語との比較を中心に
- 日本語母語話者の雑談における言いさし表現: スピーチレベルによる使用様相と機能を中心に
- 断わり談話における日韓の文末表現: 「ノダ」「ソウダ」「ヨウダ」「カモシレナイ」「것같다」「거든」を中心に
- 한국과 일본의 도시에 투영된 언어문화자산
- 플립러닝을 활용한 일본 문학 수업 운영에 관한 연구
- 포털 및 SNS 일본어 데이터의 감성분석을 통해 본 한국 사회의 일본어 소비
- 코로나19로 인한 평생교육 일본어 학습자의 비대면 온라인 화상수업 실태 및 만족도 조사
- 「のだ․わけだ」の機能に関する考察: 韓国語「것이다」との対照から
- 일본 근세시대 재해 문예와 재해 피해자
- 『나는 고양이로소이다(吾輩は猫である)』에 대한 소고
- 나카하라 츄야(中原中也) 문학에 나타난 <자기 상실(自己喪失)>에 대한 고찰
- 能因の「想像奥州十首」に関する試論家集での位相及び詠歌契機
- 일본 신학습지도요령의 전면실시를 위한 이행기간의 영어교육
- 일본 침향목 표착의 서사(context)
- 독도의 강치를 둘러싼 한일 간의 인식 고찰
- 한·일 영화 속의 미군 기지촌 문화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