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 근세시대 재해 문예와 재해 피해자
이용수 0
- 영문명
- The Literature of Disasters and the Victims of Disasters in Early Modern Japan: Focussing on Musashiabumi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97輯, 245~null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本稿は、浅井了意の『むさしあぶみ』に描かれている明暦の大火の惨状と災害の被害者の事例の分析を通して、当時の文学作品が社会的弱者の姿に注目しているということを指摘した論文である。近世には出版文化の発展によって火災発生の日時、出火地点、被害の規模などを細かく記録した文学作品が登場した。このような文学作品が、近世の災害の状況下に置かれていて、水面の上に浮かぶことのない被差別民の被害状況を盛り込んでいることを看過してはならない。また、『むさしあぶみ』下巻には、火を消した後、被害を受けた人たちのための社会的救済策が提示されている。しかし、幕府の救恤策は社会․都市の機能の回復のために努力したが、より大きい被害を受けた社会的弱者階層に対する具体的な対策は提示することができなかった。このような点から近世の文学作品が災害の状況に置かれた被差別民を描いているということに注目すべきであろう。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I analyse the disastrous situation of the great fire of Meireki and its victims, as described in Ryōi Asai’s Musashiabumi and argue that the literary works of the time featured the socially vulnerable people. Early modern Japan saw the emergence of literary works which minutely recorded the date and time of fire, the location, and the extent of damage, owing to the development of publishing culture. It should not go unnoticed that these literary works describe the disastrous situation surrounding discriminated people who suffered disasters in early modern Japan. Also, the latter volume of Musashiabumi introduces the social relief measures for those affected by the great fire of Meireki. Still, although these measures were effective for restoring the functions of the societies and cities, no concrete measures were presented for the socially vulnerable people, who were more seriously affected by the disaster. This point would be important when we consider the literary works in early modern Japan which featured the discriminated people under the disastrous situations.
목차
1. 머리말
2. 메이레키 대화재(明暦の大火)와 『무사시아부미』
3. 『무사시아부미』로 본 메이레키 대화재의 피해 규모
4. 『무사시아부미』에 그려진 메이레키 대화재의 피해자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サ変動詞の尊敬語の使用実態: 「なさる」と「される」の比較を中心に
- 한일 소년탐정소설 연구
- 『伊勢物語』第三十五段の「あわ緒」について: 旧注から新注の『伊勢物語古意』への注解
- 규슈대학 도서관 소장 『蜻蛉日記』 판본연구
- 温度形容詞「あつい」「あたたかい」「ぬるい」の意味分析: 比喩による意味拡張を中心に
- 現代教育にみる木簡の位置づけ: 日本の義務教育に使用される社会科․歴史教科書から
- 근대한자어 「감염」의 일고찰
- ハンガリー語の形容詞述語文に関する一考察: 日本語との比較を中心に
- 日本語母語話者の雑談における言いさし表現: スピーチレベルによる使用様相と機能を中心に
- 断わり談話における日韓の文末表現: 「ノダ」「ソウダ」「ヨウダ」「カモシレナイ」「것같다」「거든」を中心に
- 한국과 일본의 도시에 투영된 언어문화자산
- 플립러닝을 활용한 일본 문학 수업 운영에 관한 연구
- 포털 및 SNS 일본어 데이터의 감성분석을 통해 본 한국 사회의 일본어 소비
- 코로나19로 인한 평생교육 일본어 학습자의 비대면 온라인 화상수업 실태 및 만족도 조사
- 「のだ․わけだ」の機能に関する考察: 韓国語「것이다」との対照から
- 일본 근세시대 재해 문예와 재해 피해자
- 『나는 고양이로소이다(吾輩は猫である)』에 대한 소고
- 나카하라 츄야(中原中也) 문학에 나타난 <자기 상실(自己喪失)>에 대한 고찰
- 能因の「想像奥州十首」に関する試論家集での位相及び詠歌契機
- 일본 신학습지도요령의 전면실시를 위한 이행기간의 영어교육
- 일본 침향목 표착의 서사(context)
- 독도의 강치를 둘러싼 한일 간의 인식 고찰
- 한·일 영화 속의 미군 기지촌 문화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